이재명 대통령이 지난달 22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열린 국무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뉴스토마토 박주용 기자] 이재명 대통령이 일본 방문을 앞두고 과거 위안부 합의와 징용 배상 문제에 대해 "국가 차원의 약속이기 때문에 이를 뒤집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밝혔습니다. 과거 일본 정부와의 합의를 유지하겠다는 뜻으로 풀이됩니다.
이 대통령은 21일 보도된 일본 요미우리신문과의 인터뷰에서 "한국 국민으로서는 매우 받아들이기 어려운 이전 정권의 합의"라며 이같이 말했습니다.
이 대통령은 위안부와 징용 등 역사 문제에 대해 "한국 국민에게 가슴 아픈 주제"라며 "되도록 현실을 인정하고 서로 이해하려고 노력해 대립되지 않도록 하면서 해결해야 한다"고 지적했습니다. 이어 "정책의 일관성과 국가의 대외 신뢰를 생각하면서도, 한편으로 국민과 피해자와 유족의 입장도 진지하게 고려하는 두 가지 책임을 동시에 짊어지고 있다"고 전했습니다.
이 대통령의 발언은 지난 2015년 박근혜정부 당시 체결됐던 한·일 위안부 합의와 2023년 윤석열정부가 강제 징용 문제와 관련해 '제3자 변제안'을 들고 나온 것을 그대로 계승하겠단 뜻으로 해석됩니다.
한·일 관계의 중요성도 언급했습니다. 이 대통령은 "일본은 매우 중요한 존재"라며 "한국도 일본에 유익한 존재가 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양측에 이익이 되는 길을 발굴해 협력할 수 있는 분야를 넓혀가야 한다"며 경제·사화·문화·환경 등 양국이 협력해야 할 부분이 많다는 점을 강조했습니다.
아울러 이 대통령은 1998년 발표된 '김대중·오부치 공동선언'에 대해 "한·일 관계에 새로운 분기점을 만들었다"고 평가했습니다. 그는 "이번 기회에 그 선언을 계승하고 이를 넘어서는 새로운 공동선언을 발표해 일본과 미래 지향적인 관계를 구축하고 싶다"는 바람도 전했습니다.
이 대통령은 오는 23일 취임 이후 처음으로 일본을 방문하고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와 회담할 예정입니다. 이 대통령은 이번 정상회담에 대해 "어떤 면에서 협력할 수 있을지 얘기할 것"이라고 했습니다.
박주용 기자 rukaoa@etomato.com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최신형 정치정책부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