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KT 장악 배후로 '5인방' 지목…정점에 '왕실장' 이관섭
메신저 '이복현'-고발사주 '이동관'-이사회 개입 '주형환'
2025-07-03 06:00:00 2025-07-03 06:00:00
[뉴스토마토 한동인·이효진 기자] KT에 대한 불법 개입 의혹 배후로 윤석열정부 실세 5인방이 지목됐습니다. 의혹의 정점에는 대통령실 '왕실장'으로 불렸던 이관섭 전 비서실장이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그는 윤석열정부 대통령실 정책기획수석과 국정기획수석을 거쳐 '비서실장'까지 오른 실세 중 실세였습니다. 이 전 실장을 필두로 관련 의혹 당사자로 김대기 전 대통령실 비서실장과 이동관 전 대통령 대외협력특보, 주형환 전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이복현 전 금융감독원장 등 윤석열정부 실세들의 이름이 모두 올랐습니다. 
 
(그래픽=뉴스토마토)

기자회견부터 고발까지…곳곳에 '용산 그림자'
 
3일 <뉴스토마토> 취재를 종합하면, 김영섭 현 KT 대표이사 선임 과정에 대통령실 주도로 전방위적 외압 의혹이 있었다는 KT 전·현직 고위 관계자의 증언이 나왔습니다. 윤석열정부 시기인 2022년 말부터 KT는 대표이사(CEO) 공백이라는 초유의 사태를 맞았습니다. 당시 통신업계와 정치권에서는 장기화되는 KT 대표이사 선임 과정에 용산 주도의 '정치적 외압'을 의심하는 시선들이 쏟아졌습니다. 
 
시작은 구현모 전 KT 대표 사퇴 과정을 둘러싼 외압 의혹입니다. 2022년 11월 연임 의사를 공식화한 구 전 대표는 이사회로부터 적격 판정을 받았지만, 최대주주였던 국민연금에 제동이 걸렸습니다. 당시 집권여당이었던 국민의힘 내부에서도 비토론이 터져 나왔습니다. 2023년 3월2일 박성중·김영식 등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과방위) 소속 국민의힘 의원들은 기자회견을 열고 "구 대표는 '깜깜이 셀프 경선’으로 연임을 시도했지만 각종 비리 의혹으로 수사대상에 올랐다"며 "검찰과 경찰은 구현모 KT 대표 등에 대한 수사를 조속히 착수해야 한다"고 촉구했습니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같은 날 오후 곧바로 해당 기자회견과 관련해 "조직 내에서 '모럴 해저드'(도덕적 해이)가 일어나고, 그 손해는 우리 국민이 볼 수밖에 없지 않으냐는 시각에서 보고 있다"며 국민의힘을 지원 사격했습니다. 당시 여당에서 대통령실까지 이어진 KT 압박은 이관섭 전 실장의 주도 아래 진행됐다는 게 KT 관계자들의 주장입니다. 기자회견에 참석했던 김영식 전 국민의힘 의원은 <뉴스토마토>와의 통화에서 "KT 사장과 이사가 분리돼야 한다는 원론적인 이야기를 했을 뿐"이라며 "용산과는 관련이 없다"고 해명했습니다. 
 
구 전 대표 낙마 이후 KT 이사회의 만장일치로 내정된 윤경림 전 KT 그룹트랜스포메이션 부문장에 대한 압박은 더욱 조직적이었다고 합니다. 특히 이복현 당시 금융감독원장이 나섰다는 주장도 제기됐습니다. 이 전 금감원장은 2023년 1월18일 은행장들과의 간담회에서 KT 등의 지배구조를 겨냥해 "내부통제 실패 원인으로 거론되는 '거버넌스' 문제에 대해 금융당국이 수개월째 검토하고 있다"면서 "최근 관심받는 CEO 선임 절차에서의 공정성과 투명성 확보 방안에 대해서도 금융당국이 적극 동참해 의견을 내거나 혹여 국회의 논의가 있으면 함께 할 예정"이라고 했습니다. 하지만 이 전 원장 역시 <뉴스토마토>와의 통화에서 해당 의혹에 대해 "무슨 얘기인지 전혀 알지 못한다"고 답했습니다.  
 
김영섭 KT 대표이사 선임 과정에 이관섭 전 대통령 비서실장(사진)의 외압이 작용했다는 관계자 제보가 나왔다.(사진=연합뉴스)
 
이사회 '장악'…낙하산 '쐐기'
 
정부·여당의 전방위적 압박이 이어지자 구 전 대표와 윤 전 부문장은 무릎을 꿇을 수밖에 없었습니다. 2023년 3월7일 '정의로운사람들'이라는 극우 시민단체는 △일감몰아주기 △KT 이사회 장악을 위한 사외이사 향응 및 접대 제공 등의 의혹을 담아 구 전 대표와 윤 전 부문장을 서울중앙지검에 고발했습니다. 서울중앙지검은 고발장 접수 사흘 만인 3월10일 해당 고발 건을 공정거래조사부에 배당했습니다. 이례적인 속도로 수사가 진행되면서 사실상 '보복성 수사'라는 평가가 나왔습니다. 구 전 대표이사는 1년 3개월여의 고강도 수사 끝에 대부분 무혐의 처분을 받았습니다. 
 
검찰 수사를 이끈 시민단체의 고발 과정에도 대통령실이 개입했다는 의혹이 제기됐습니다. 이동관 당시 특보가 두 사람의 고발을 시민단체에 사주했다는 주장인데요. 다만 이 전 특보 역시 "해당 시민단체에 대해서 전혀 알지 못하고, 관여한 사실 자체가 없다"며 "대표이사 선정 과정과 경위 자체를 알지 못했다"고 관련 의혹을 부인했습니다.
 
새롭게 KT 수장에 오른 김영섭 대표는 LG 출신으로, KT와 인연이 없었습니다. 재무와 구조조정 업무에서 성과가 인정되지만, KT 사령탑에는 부적절하다는 비판도 나왔습니다. 때문에 KT 이사후보추천위원회가 김영섭 대표를 선출한 것을 놓고 정부·여당의 입김이 작용했다는 의심이 더해졌습니다. 그는 이관섭 전 실장의 친형과 경북대 사대부고 동문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김 대표를 추천한 배후로 김대기 당시 대통령실 비서실장이라는 주장도 나왔습니다. 김 전 실장은 LG그룹의 권영수 전 부회장과 고등학교·대학교(경기고·서울대) 동문이자 막역한 사이로 알려져 있는데요. 구 전 부회장이 김 대표를 추천했고, 김 전 실장이 김 대표를 '용산의 뜻'으로 KT 이사회에 추천했다는 겁니다. 
 
윤석열정부 대통령실은 경영진 교체에 더해 이사회에 대한 장악도 시도했다는 의혹도 삽니다. 2023년 3월31일 사외이사 1명을 제외한 전원이 사퇴를 함에 따라 이사회가 새롭게 구성될 수밖에 없었습니다. 검찰은 이 시기에 KT 경영진에 대한 수사 압박을 강화하고 있었습니다. 
 
은행 사외이사였던 한 인물은 용산 대통령실로부터 KT 사외이사 자리를 제안받았지만 고사했다는 전언도 있습니다. 당시 윤석열 대통령의 측근인 주형환 전 장관 역시 이사회 장악에 직접 개입한 것으로 의심됩니다. 주 전 장관은 <뉴스토마토>에 "당시 KT 지배구조 TF(태스크포스)에서 일했던 것은 맞지만 지배구조 문제만 다뤘을 뿐, 전혀 개입한 바 없다"고 반박했습니다. KT 장악 배후 중 한 명으로 지목된 김대기 전 실장은 수차례 전화통화 시도에도 연락이 닿지 않았습니다.
 
한동인 기자 bbhan@etomato.com
이효진 기자 dawnj789@etomato.com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최신형 정치정책부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0/300

뉴스리듬

    이 시간 주요 뉴스

      함께 볼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