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진숙 '지명 철회'…강선우는 '강행 수순'
장고 끝 '절반의 후퇴'…당내서도 '이진숙 불가' 영향
2025-07-20 18:00:00 2025-07-20 18:57:57
[뉴스토마토 한동인·김유정 기자] 이재명 대통령이 이진숙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후보자에 대한 지명을 철회했습니다. 이 대통령이 직접 여야 원내대표에게 의견을 청취하고 여론을 반영하는 내부 논의를 거친 결과입니다. 다만 인사청문 '슈퍼 위크' 기간, 함께 논란이 된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에 대해서는 별다른 언급이 없었는데요. 보좌관 갑질 의혹이 청문회를 통해 일정 부분 해소됐다는 여당 내부 기류에 따른 것으로 보입니다. 결국 강 후보자에 대한 인사는 강행 수순을 밟을 전망입니다. 
 
대통령실은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17일 대통령실에서 모닝 티타임 모습을 18일 SNS에 공개했다. (사진=뉴시스)
 
이 대통령, 지명 철회 전 여야 원내대표단 만났다
 
20일 오후 우상호 대통령실 정무수석은 용산 대통령실 브리핑에서 "이 대통령은 다양한 의견을 경청하며 고심했고, 어제는 김병기 민주당 원내대표와 송언석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 겸 원내대표를 만나서 다양한 의견 경청했다"며 이 후보자에 대한 지명 철회를 밝혔습니다.
 
대통령실과 정치권에 따르면 이 대통령은 지난 19일 김병기 민주당 원내대표와 송언석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 겸 원내대표와 회동했습니다. 해당 만남은 송 위원장의 요청으로 성사됐으며, 면담은 대부분 내각 인선과 관련한 얘기로 채워진 것으로 알려집니다.
 
박성훈 국민의힘 수석대변인은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해당 면담에 대해 "인사 문제에 대한 의견을 개진하고 이에 대한 입장을 전달했다"고 전했습니다. 
 
국민의힘은 이 대통령에게 "갑질과 청문회 위증 사실이 밝혀진 강선우 후보자, 제자 논문 표절뿐 아니라 다수 교육 현안에 무지한 모습을 드러낸 이진숙 후보자 2명은 반드시 지명을 철회해야 한다는 시중의 여론을 강력하게 전달했다"고 밝혔는데요. 정동영 통일부 장관 후보자와 김영훈 고용노동부 장관 후보자, 권오을 국가보훈부 장관 후보자까지 포함해 '무자격 6적'까지 언급했습니다. 
 
당시 면담에서 이 대통령은 이진숙·강선우 후보자에 대한 거취 문제에 "고민해보겠다"고만 답했다고 박 대변인은 말했습니다. 
 
결국 이 대통령은 이날 인사청문회와 관련한 내부 보고를 받았습니다. 이후 고심 끝에 이 대통령은 두 사람 중 이 후보자에 대한 지명 철회만을 결정했습니다.
 
 
이진숙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후보자가 16일 서울 여의도 국회 교육위원회에서 열린 인사청문회에서 모두발언 후 인사를 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여론 추이 '촉각'…강선우 '강행' 여파는
 
이 대통령은 이날 결국 두 사람 중 한 사람만 '강행'이라는 선택을 했습니다. 이같은 결정에는 여당 내부 기류가 작용한 것으로 보입니다. 
 
허영 민주당 원내정책수석부대표는 <뉴스토마토>와 통화에서 "이미 각 상임위원회에서 인사청문 경과보고서 채택 의견으로 넘긴 상황"이라며 "이제는 대통령실의 시간"이라고 밝혔습니다. 
 
백승아 민주당 대변인도 통화에서 "인사청문회까지가 국회의 역할이고, (청문회 과정에서) 큰 변화는 없었기 때문에 대통령실이 판단하게 될 것"이라고 거듭 강조했습니다. 국회 여가위 소속 여당 의원도 "당에서 만약 도저히 안 된다고 생각했으면 의원총회을 해서 대통령에게 재고해달라고 했을 것"이라며 "지도부가 묵시적으로 의사 표시를 했다고 봐야 한다"고 했습니다. 
 
사실상 당내에서는 이진숙·강선우 후보자에 대한 논란이 청문회를 통해 일정 부분 해소됐다고 파악하는 분위기인 셈입니다. 김 원내대표 역시 이 대통령과의 면담에서 '낙마 불가론'을 펼친 것으로 알려집니다. 
 
그럼에도 이 대통령은 이 후보자에 대한 철회만 결정했는데요. 당내에서는 김상욱·강득구 민주당 의원이 이 후보자에 대해 '중대 결격 사유'를 가졌다며 '자진 사퇴'를 촉구한 바 있습니다. 
 
게다가 친여권 성향의 시민단체들에서조차 이 후보자에 대한 '불가론'을 내세우며 지명 철회를 촉구하는 목소리가 확산하는 모양새입니다. 
 
이 대통령으로서는 당내 반발이 존재하는 이 후보자에 대한 지명만 철회하며, 명분을 살린 셈인데요. 사실상 이 후보자 '철회'와 강 후보자 '강행'이라는 투트랙 전략을 펼친 겁니다. 
 
우상호 정무수석도 지난 18일 <SBS> 라디오 '김태현의 정치쇼' 인터뷰에서 "여론이 가라앉지 않는 장관 후보자도 있는 게 현실"이라며 "좋은 여론도 있고 사퇴하라는 여론도 있는 것을 여과 없이 (이 대통령에게) 보고를 드리고 있다"고 밝힌 바 있습니다. 결국 리더십 시험대에 오른 이 대통령이 '정무적 판단'을 내린 겁니다. 다만 강 후보자에 대한 여론의 파장도 만만치 않아 추후 여파를 지켜봐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한동인 기자 bbhan@etomato.com
김유정 기자 pyun9798@etomato.com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최신형 정치정책부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0/300

뉴스리듬

    이 시간 주요 뉴스

      함께 볼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