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이지은 기자]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광명시·서울 금천구 일대에서 발생한
KT(030200) 무단 소액결제 사건과 관련 원인 조사에 착수했습니다.
과기정통부는 9일 KT 사태 조사를 위해 민관합동조사단을 구성해 현장 조사 등 신속한 원인 조사에 착수했다고 밝혔습니다.
최근 경기 광명시와 서울 금천구를 중심으로 원인 불상의 무단 소액결제 피해가 집중적으로 발생했습니다. 피해자들은 공통적으로 자신도 모르는 사이 상품권과 교통카드 등이 결제되는 피해를 입었다고 밝혔습니다. KT는 이에 대해 "지난 5일 새벽부터 비정상적인 소액결제 시도를 차단했고, 이후 현재까지 추가적인 발생이 확인되고 있지 않다"며 "지금까지의 신고 건들은 차단 조치 이전에 발생한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과기정통부 세종 청사. (사진=뉴스토마토)
이번 민관합동조사단의 단장은 최우혁 정보보호네트워크정책관이 맡고, 부단장은 이동근 한국인터넷진흥원(KISA) 디지털위협대응본부장이 맡습니다. 위원은 과기정통부 2명, KISA 4명, 민간 6명으로 구성됐습니다.
과기정통부와 KISA는 지난 8일 오후 7시16분 KT로부터 침해 사고 신고 접수를 받았습니다. 정부는 오후 7시50분 KT에 관련 자료 보전을 요구했으며, 이날 밤 10시50분 KT 우면동을 방문해 상황을 파악했습니다.
과기정통부는 추가 피해 우려 등 침해 사고의 중대성, 공격 방식에 대한 면밀한 분석 필요성을 고려해 이동통신과 네트워크 전문가를 포함한 민관합동조사단을 구성해 신속하게 조사에 착수하고, 정보보호 분야 민간 전문가가 참여하는 자문단을 구성해 사고 관련 기술적·정책적 자문을 받는 등 철저한 조사를 추진할 계획입니다.
류제명 과기정통부 2차관은 "국민 피해 최소화를 위해 국내 최고 전문가 참여하는 조사단을 구성해 신속한 원인 파악과 피해 확산 방지를 위해 노력하는 한편, 수사를 진행하는 경찰과도 긴밀히 협력하겠다"고 말했습니다.
KT는 개인 정보 해킹 정황은 없다는 점을 분명히 하며 정부 조사에 협조해 사건이 규명되도록 최선을 다한다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KT는 "소액결제 피해 고객에게는 어떠한 금전적 피해가 가지 않도록 사전 조치 등 만전을 기하고 있고, 결제 한도 하향 조정 등 고객 피해 최소화를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하고 있다"며 "경찰 수사와 정부 조사에 적극적으로 협조해 조속히 사건이 규명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습니다.
이지은 기자 jieunee@etomato.com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김나볏 테크지식산업부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