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용범 대통령실 정책실장이 한미 관세 협상 후속 협의를 위해 16일 인천국제공항 제2터미널에서 워싱턴 D.C.로 출국하기 앞서 취재진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왼쪽은 김정관 산업통상부 장관. (사진=뉴시스)
[뉴스토마토 차철우 기자] 김용범 대통령실 정책실장이 16일 한·미 관세 후속 협상에 대해 "긍정적으로 보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김 실장은 이날 오전 인천국제공항에서 미국 워싱턴으로 출국 전 기자와 만나 "미국도 한국처럼 관련 부처가 긴밀하게 소통하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습니다.
김 실장은 "김정관 산업통상부 장관이 하워드 러트닉 상무부 장관,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스콧 베센트 재무부 장관, 여한구 통상교섭본부장은 제이미슨 그리어 미국무역대표부(USTR) 대표와 협상을 할 것"이라며 "우리는 대통령실 안에 안보실과 정책실이 부처들하고 (소통을) 많이 했고, 초기부터 한 팀으로 했다"고 전했습니다.
김 실장은 또 "지금 국제통화기금(IMF) 월드뱅크 연차총회 기간인데, 각국 재무장관과 중앙은행 총재들이 다 모이는 기간"이라며 "우리가 목표로 하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한·미 정상회담을 계기로 준비하는 기간도 적절한 시기다. 김 장관이 러트닉 장관과 면담이 잡혔을 때 한 자리에서 우리 정부 입장을 조율하고 협상에 박차를 가하는 게 좋겠다고 해 함께 간다"고 밝혔습니다.
김 실장과 함께 방미 길에 오른 김정관 장관은 '대미 투자펀드가 원화를 통한 직접 투자로 이뤄질 가능성이 있느냐'에 대한 질문에 대해선 "협상이 진행 중이라 답변드리기 어렵다"면서도 "외환시장 관련해 미국과 측과 상당 부분 간극이 좁혀졌다"고 했습니다. 앞서 베센트 장관은 "내가 연방 준비제도 의장은 아니지만 내가 의장이라면 한국은 이미 싱가포르와 같은 통화 스와프를 가지고 있을 것"이라고 언급한 바 있습니다.
김 장관은 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5일(현지시간) 백악관 기자회견에서 '3500억달러를 한국이 선불로 지급한다'고 언급한 부분에 대해 "토를 달거나 발언을 하는 것은 적절치 않다"고 했습니다.
차철우 기자 chamato@etomato.com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최신형 정치정책부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