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유지웅 기자] 김문수 국민의힘 대선후보 측과 한덕수 무소속 대선후보 측의 3번째 단일화 협상이 결렬됐습니다. 단일화 여론조사 방식을 두고, 양측이 이견을 좁히지 못했기 때문입니다.
김 후보 측은 지지 정당과 관계없는 여론조사를, 한 후보 측은 국민의힘 경선 방식(당원 50%·역선택 방지 조항이 적용된 여론조사 50%)를 각각 주장했습니다. 국민의힘 경선 방식을 적용한 여론조사는 한 후보 측에 유리하다는 게 지배적 분석입니다.
김문수 국민의힘 대선후보 측의 김재원 비서실장(왼쪽)이 9일 김 후보와 무소속 한덕수 대선 예비 후보 간의 단일화 협상이 결렬된 후 취재진 질문에 답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김 후보 측 김재원 비서실장은 9일 밤 협상테이블에 앉은 지 30여분 만에 협상장을 나와 "단일화 방식을 따지지 않겠다는 한 후보를 믿고 협상에 임했고, 합리적 방안을 제시했다"며 "그런데 한 후보 측은 자신의 주장이 관철되지 않으면 한발짝도 협의하지 않겠다며 언성까지 높였다"고 했습니다.
이어 "한 후보는 당에 모든 걸 일임하겠다고 했기 때문에 사실상 발언권이 없다"며 "당 지도부가 저와 협상해달라"고 촉구했습니다.
그러면서 "이건 국민의힘·무소속 후보 사이의 단일화"라며 "(단일화 여론조사에서) 지지하는 정당을 묻지 않는 게 정상이고, 그렇게 설문을 구성하자고 했는데 '그건 절대 안된다'고 한다"고 밝혔습니다.
또 "정당에 소속되지 않은 무소속 후보자를 뽑는 과정에 당원을 동원하는 것은 불법"이라도 했습니다.
반면 한 후보 측 손영택 전 국무총리 비서실장은 "저희가 생각한 가장 합리적 방안은 김문수 후보가 승리했던 그 방식"이라며 "그걸 받지 않아서 협상이 결렬됐다"고 했습니다.
손 전 비서실장은 "민주당, 이재명 후보가 국민의힘 후보를 선출하는 건 절대 동의할 수 없다"며 '역선택 방지조항' 필요성을 강조했습니다. 동시에 "국민의힘 후보를 선출하는 것"이라며 당원 조사도 필요하다고 주장했습니다.
그러면서 "전 당원 K-보팅이 합리적이지 않으냐고 제안했지만, 그 방법도 김 후보 측이 동의하지 않았다"고 말했습니다.
한편, 양측은 잠시 뒤인 오후 10시30분에 협상을 재개하기로 했습니다.
유지웅 기자 wiseman@etomato.com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최신형 정치정책부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