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양권·입주권 거래 ‘반토막’...“대출 규제가 양극화 부채질”
대출 규제로 잔금 조달 막혀…거래 유보 선택
강남 등 인기 단지 고가 거래 지속…양극화 심화
2025-08-27 15:03:59 2025-08-27 17:39:44
 
[뉴스토마토 송정은 기자] 6·27 대출 규제가 본격 시행된 이후 서울 아파트 분양권과 입주권 거래가 절반 가까이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대출 한도 축소로 자금 조달에 어려움을 겪는 실수요자들은 발길을 돌리고 있는 반면, 고소득층은 강남권 고가 단지를 중심으로 거래를 이어가며 주택시장 양극화가 심화되고 있다는 분석입니다. 
 
거래 절반 ‘뚝’…서울 분양권·입주권 시장 냉각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에 따르면 지난 6월28일부터 8월26일까지 서울 아파트 분양권·입주권 거래 건수는 110건으로 집계됐습니다. 이는 규제 시행 전 2개월간(4월29일~6월27일) 225건과 비교해 48.9% 감소한 수치입니다. 
 
(그래프=뉴스토마토)
 
7월 한 달 수도권 전체 분양권·입주권 거래량도 전월 대비 35.9% 줄어드는 등 시장 위축이 서울뿐 아니라 수도권 전역으로 확산되는 모습입니다. 업계에서는 주택담보대출 한도 6억원 제한과 7월부터 시행된 3단계 스트레스 DSR 규제가 시장 위축을 가속화한 주된 원인이라고 보고 있습니다. 
 
권일 부동산인포 리서치팀장은 “계약금과 프리미엄까지는 조달이 가능하지만, 최종 잔금 조달이 막히면서 거래 결정을 유보하는 경우가 늘고 있다”며 “대출 한도 축소로 인해 분양권·입주권 수요자들의 선택지가 제한된 상황”이라고 말했습니다. 
 
고하희 대한건설정책연구원 부연구위원은 “6·27 대출 규제가 주택담보대출 한도를 6억원을 제한했고, 수도권의 경우 무주택자는 LTV가 50% 적용된다고 해도 한도 자체가 6억원으로 묶이면서 실수요자들의 자금 부담이 커진 상황”이라며 “지난달부터 시행된 스트레스 DSR 3단계로 대출 요건이 한층 더 까다로워졌다. 여기에 현 정부가 주택가격을 안정적으로 관리하겠다는 기조를 지속적으로 보이면서 굳이 프리미엄을 지불하면서까지 아파트를 매매하려는 수요가 줄어든 점도 거래 위축에 영향을 미쳤다”고 설명했습니다. 
 
고가 단지 거래는 여전…양극화 심화
 
이처럼 서울 아파트 시장 거래가 급감했음에도 불구하고 고가 단지를 중심으로는 여전히 활발한 움직임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강남 3구(강남·서초·송파)에서만 16건이 거래돼 전체의 14.5%를 차지했습니다. 
 
(그래프=뉴스토마토)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에 따르면 개포동 디에이치 퍼스티어 아이파크 전용면적 179㎡ 입주권은 78억6500만원에 거래됐고, 서초구 메이플자이 전용면적 135㎡ 입주권은 71억원에 손바뀜했습니다. 청담동 청담 르엘 전용면적 84㎡는 55억5000만원에 거래됐습니다. 강북에서도 마포자이힐스테이트 라첼스 전용면적 84.9㎡ 
분양권이 27억원에 거래되는 등 인기 단지 중심의 수요는 여전합니다. 
 
서울 외곽이나 경기권 일부 지역에서는 분양권 프리미엄이 크게 낮아지면서 사실상 손해를 감수하고 거래하는 사례도 적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구로구와 도봉구 등 서울 외곽 지역 일부 단지에서는 ‘무피(프리미엄 없는 거래)’나 ‘마피(프리미엄 마이너스 거래)’ 사례가 발생하고 있습니다. 
 
서울 은평구의 한 공인중개사는 “올 1분기 서울 아파트 가격이 전반적으로 오르던 시기에는 주말마다 신축 아파트 분양권, 입주권 문의 전화가 끊이지 않았는데, 대출 규제 시행 이후에는 하루 종일 사무실 전화가 한 통도 울리지 않는 날도 적지 않다”고 전했습니다. 
 
전문가들은 대출 규제가 장기화될 경우 현금 보유량이 풍부한 수요자를 위주로만 거래가 이뤄지는 등 주택시장 양극화 현상이 심화할 수 있다고 지적합니다. 
 
서울 강남구의 한 아파트 단지. (사진=뉴스토마토)
 
고하희 부연구위원은 “6·27 대책은 본질적으로 대출이 필요한 계층을 겨냥한 규제이기에 대출이 필요 없거나 소액으로만 대출을 받아도 집을 살 수 있는 이른바 현금 부자들에게는 제약이 거의 없는 규제”라며 “이런 상황에서 거래가 가능한 층은 고소득층·현금 부자들로 한정되면서 결과적으로 주택시장의 양극화를 더욱 심화시키는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송정은 기자 johnnysong@etomato.com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강영관 산업2부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0/300

뉴스리듬

    이 시간 주요 뉴스

      함께 볼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