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코스닥 1%대 하락…'반도체 직격탄'
미국 삼성·하이닉스 중국 공장 VEU 지위 철회에 불확실성 확대
중국 알리바바 AI칩 개발 소식 겹치며 메모리 업종 투자심리 위축
2025-09-01 17:10:36 2025-09-01 18:10:50
[뉴스토마토 김주하 기자] ] 국내 증시가 미국과 중국발 반도체 악재에 흔들리며 동반 약세로 마감했습니다. 시가총액 비중이 큰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급락하자 코스피는 3140선으로 밀렸고 코스닥도 외국인 매도세 속에 780선으로 후퇴했습니다. 
 
1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코스피 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43.08포인트(1.35%) 내린 3142.93에 장을 마쳤습니다. 지수는 3164.58(0.67%)로 출발해 장중 3135.02까지 밀리기도 했습니다. 개인이 3466억원을 순매수했으나 외국인과 기관이 각각 2721억원, 1936억원을 순매도했습니다. 
 
시가총액 상위주는 대체로 약세를 보였습니다. 상위 1·2위 종목인 삼성전자(005930)(-3.01%)와 SK하이닉스(000660)(-4.83%)가 하락했고 이에 한미반도체(042700)(-6.32%), 두산테스나(131970)(-6.04%) 등 장비주도 큰 폭으로 내렸습니다. 반면 한화에어로스페이스(012450)(3.62%)가 상승하며 이날 코스피 시총 5위로 올라섰고 기아(000270)(0.66%), 현대차(005380)(0.23%)는 상승 마감했습니다. HD현대중공업(329180)(-1.92%), KB금융(105560)(-1.02%), LG에너지솔루션(373220)(-0.85%), 삼성바이오로직스(207940)(-0.50%) 등은 하락했습니다. 
 
창업주에 대한 검찰의 중형 구형 소식에 카카오(035720)(-2.08%)를 비롯해 카카오뱅크(323410)(-2.84%) 카카오페이(377300)(-2.68%) 등 그룹주도 동반 약세를 기록했습니다. 
 
이날 반도체 약세는 미국과 중국에서 동시에 불거진 악재가 배경으로 꼽힙니다. 미국 상무부는 지난달 29일(현지시간)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중국 공장을 '검증된 최종 사용자(VEU)' 프로그램에서 제외하고 앞으로는 미국산 장비 반입 시 건별 승인을 받아야 한다고 밝혔습니다. 이에 따라 양사의 중국 내 공장 운영 차질 가능성이 불거졌습니다. 
 
여기에 중국 최대 클라우드 기업 알리바바가 엔비디아의 중국 수출용 AI 반도체인 'H20' 을 대체할 자체 인공지능(AI) 칩을 개발했다는 소식도 투자심리에 부담을 더했습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해당 칩이 범용성이 높아 다양한 AI 추론 작업에 활용될 수 있다고 전했습니다. 
 
이재원 신한투자증권 연구원은 "알리바바 영향에 반도체 대형주가 하락하며 지수 하방 압력을 강화했다"며 "특히 미국의 검증된 최종 사용자(VEU) 지위 철회까지 겹치면서 SK하이닉스가 상대적으로 약세를 보였다"고 분석했습니다. 류영호 NH투자증권 연구원도 "엔비디아 진영에 대한 시장 우려가 커지고 국내 메모리칩 업계 투자 심리가 단기적으로 위축될 수 있다"고 평가했습니다. 
 
코스닥은 전 거래일보다 11.91포인트(-1.49%) 내린 785.00에 장을 마쳤습니다. 지수는 1.61포인트(0.20%) 내린 795.30으로 출발한 뒤 하락 폭을 확대했습니다. 개인과 기관이 각각 688억원, 40억원을 순매수했으나 외국인은 559억원을 순매도했습니다. 
 
시가총액 상위권에서는 알테오젠(196170)(3.76%), HLB(028300)(2.52%)가 올랐습니다. 반면 리가켐바이오(141080)(-4.82%), 삼천당제약(000250)(-4.26%), 파마리서치(214450)(-3.09%), 펩트론(087010)(-3.07%), 레인보우로보틱스(277810)(-2.01%), 에코프로(086520)(-1.38%), 에이비엘바이오(298380)(-1.20%), 에코프로비엠(247540)(-1.07%) 등이 하락했습니다. 
 
서울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전 거래일보다 3.6원 오른 1393.7원에 마감했습니다. 
 
1일 오후 서울 중구 하나은행 딜링룸 전광판에 코스피가 전 거래일보다 43.08포인트(1.35%) 내린 3142.93포인트를 나타내고 있다. (사진=뉴시스)
 
김주하 기자 juhaha@etomato.com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고재인 자본시장정책부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0/300

뉴스리듬

    이 시간 주요 뉴스

      함께 볼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