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뉴스토마토 한동인 기자] 이재명 대통령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29일 가진 한·미 정상회담에서 우라늄 농축 및 사용후핵연료(고준위 방사성폐기물) 재처리 등을 골자로 한 한·미 원자력 협정의 신속한 개정을 촉구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한국과의 조선업 협력을 강조하면서도, 이견이 맞서고 있는 관세 협상에 대해 "아직 구름이 남아 있지만 조만간 걷힐 것"이라고 예고했습니다.
이재명 대통령이 29일 경북 경주박물관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에게 무궁화 대훈장을 수여하고 박수를 치고 있다. (사진=뉴시스)
이 대통령 "자체적 방위 역량 키울 것"
이 대통령은 이날 오후 2시50분께 국립경주박물관에서 시작한 한·미 정상회담에서 "한·미 관계는 동맹의 현대화, 미래형 포괄적 전략 동맹으로 발전돼야 한다"며 "대한민국도 방위비 증액을 통해서, 방위산업 발전 통해서 자체적 방위 역량 대폭 키울 생각"이라고 강조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에게 '자주국방'을 강조한 이 대통령은 한·미 원자력 협정의 개정도 직접 촉구했습니다. 이 대통령은 "우리가 핵무기를 적재한 잠수함을 만들겠다는 것이 아니다"라며 "핵추진잠수함의 연료를 우리가 공급받을 수 있도록 결단해달라"고 요청했습니다.
이어 "디젤 잠수함은 잠항 능력이 떨어지기 때문에 북한이나 중국 측 잠수함에 대한 추적 활동에 제한이 있다"며 "연료 공급을 허용해주시면 저희가 저희 기술로 재래식 무기를 탑재한 잠수함을 여러 척 건조, 한반도 해역의 방어 활동을 하면 미군의 부담도 줄어들 것"이라고 했습니다.
이 대통령은 지난 8월 정상회담에서 강조한 '피스 메이커'(평화 중재자)론을 거론하며 트럼프 대통령의 성과를 치켜세웠는데요. 이 대통령은 "김정은(북한 국무)위원장이 (트럼프) 대통령의 진심을 다 수용하지 못해 불발되기는 했지만…그 자체만으로도 한반도에 온기를 만들어낼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모두 발언을 통해 안보와 평화에 방점을 찍은 이 대통령은 관세 협상과 관련해서는 미국의 제조업 부흥을 언급했습니다. 이 대통령은 "대미 투자 및 구매 확대를 통해 미국의 제조업 부흥을 지원하겠다"면서 "조선 협력도 적극적으로 해 나가겠다"고 했습니다.
트럼프 "김정은과 타이밍 안 맞아…인내 필요"
트럼프 대통령은 이 대통령의 '피스 메이커'론에 호응하며 "김 위원장과 시간이 맞지 않았지만 인내가 필요한 때라고 본다"고 했습니다.
또 "한반도에서 여러분(남과 북)이 공식적으로 전쟁 상태라는 것을 알고 있으며 그 모든 것을 바로잡기 위해 우리가 무엇을 할 수 있는지 보겠다"며 "합리적인 무엇인가를 할 수 있는지 보기 위해 당신, 당신의 팀, 그리고 다른 많은 사람들과 함께 매우 열심히 노력하겠다"고 밝혔습니다.
관세 협상과 관련한 언급도 있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아직 해소되지 않은 어떤 먹구름 같은 게 있는데 그것도 곧 해결할 수 있을 거라고 생각한다"고 했습니다. 특히 관세와 관련해서는 전날 일본 방문을 거론하며 도요타의 100억달러 대미 투자를 언급하기도 했습니다.
경주=한동인 기자 bbhan@etomato.com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최신형 정치정책부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