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문정우기자] 아기들이 이용 하는 공항 내 휴게실, 기차역 내 수유실 등에서 물티슈 기준보다 최대 4000배 많은 세균이 검출됐다.
%EB%AC%B8%EC%A0%95%EC%9A%B0/101301.jpg)
13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김태원 의원(새누리당·
사진)은 지난 8월 경기보건환경연구원 인천보건환경연구원과 함께 경기·인천 지역 주요 공항과 고속도로 휴게소, 기차역의 수유실 등에 대해 세균 검사를 실시한 결과, 인천공항 내 두 곳의 유아휴게실 정수기 표면에서 각각 40만CFU/ml와 49만CFU/ml의 세균이 검출됐다고 밝혔다.
이는 한국기술표준원에서 정한 물티슈 세균 기준 100CFU/ml보다 많은 수치다.
이어 세면대 손잡이에서는 각각 1만2000CFU/ml와 3000CFU/ml이 검출됐다. 수유 의자에서는 각각 3600CFU/ml와 1700CFU/ml의 세균이 나왔다. 영아들이 기저귀를 교환하는 기저귀 교환대 두 곳에서는 각각 3700CFU/ml, 1400CFU/ml의 세균이 나타났다.
또 인천공항 여자화장실의 기저귀 교환대에서도 최대 7만1000CFU/ml부터 최소 1300CFU/ml의 세균이 검출됐다.
고속도로 휴게소와 전철역 기저귀 교환대에서도 상당한 세균이 검출됐다. 인천 부평역 수유실 기저귀 교환대에서 4200CFU/ml, 세면대 손잡이와 소파에서 각각 620CFU/ml의 세균이 검출됐다. 덕평휴게소 기저귀 교환대에서는 920CFU/ml의 세균이 다른 휴게소보다 많은 편이었다.
특히, 인천공항, 김포공항 여자화장실 변기와 부평역 여자화장실 변기·화장실문손잡이에서는 식중독뿐만 아니라 중이염·방광염 등 화농성질환을 일으키는 황생포도상구균도 발견됐다.
반면, 수원역의 경우 세균이 물티슈 기준보다 적게 나왔다. 김포공항도 아기침대와 정수기에서 각각 510CFU/ml, 300CFU/ml의 세균이 검출된 것 외에는 물티슈 기준보다 낮았다.
김 의원은 "인천공항 수유실의 경우 화장실 변기보다 많은 세균이 검출됐지만 세균 기준이 없어 이용객들이 세균에 무방비로 노출돼 있다"며 "조속히 세균 등에 대한 위생기준을 정하고 주기적인 검사를 한 후 결과를 공개하는 등의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김기성 편집국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