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 무단 소액결제 브리핑, 사안 축소·은폐 의혹"
정부 조사 시작 후 피조사자 KT가 두차례 직접 브리핑해 혼란 가중
IMEI 유출 부인하다 돌연 인정…개인정보 추가 유출 가능성
정부 적극적 개입해 강도 높은 시스템 전수조사 필요
2025-09-19 09:30:05 2025-09-19 10:47:32
[뉴스토마토 이지은 기자] KT(030200)가 불법 초소형 기지국 해킹으로 발생한 소액결제 피해에 대해 두 번의 브리핑을 진행한 것과 관련, 사건 축소·은폐 의혹이 불거지고 있습니다. 민관합동조사단의 공식 조사가 진행 중인 가운데 자체 조사를 확정적인냥 발표하는 것에 대해 쓴소리가 나오는 것입니다. 특히 2차 브리핑에서 밝힌 피해 규모가 1차 브리핑 때보다 커 고의적으로 사태를 축소하려 했던 것 아니냐는 비판도 나옵니다. 
 
서울 YMCA 시민중계실은 19일 "지난 18일 진행된 KT 2차 브리핑은 피해자에 대한 구체적인 보상안이나 향후 관리계획이 아닌 더 이상은 없을 것이라 장담했던 추가 피해 사실에 대한 확인이었다"면서 "민관합동조사단으로부터 조사를 받는 와중에 이용자들의 신고가 급증하자 부랴부랴 피해 추정치를 늘려 매번 확정적인 것처럼 반복 발표하는 것을 정부는 왜 묵인하고 있는가"라고 지적했습니다. 
 
 
KT는 지난 11일 무단 소액결제 피해자가 278명이며, 피해금액은 1억7000만원이라고 발표했습니다. 이후 18일 진행된 브리핑에서는 피해고객이 362명으로 늘어났고, 피해금액은 2억4000만원으로 확대됐다고 했습니다. 2개의 불법 초소형 기지국 ID가 추가로 확인되면서 일주일 만에 바뀐 결과입니다. 
 
서울 YMCA 시민중계실은 "피조사자가 확인된 내용들이 확정적 사실인 것 마냥 매번 발표하는 것은 이용자 혼란을 가중시킬 뿐"이라며 "일반 국민 입장에서는 이러한 KT의 발표가 자칫 검증된 사실로 인식돼 마치 합동조사단의 조사 결과인 것처럼 오인할 소지도 다분하다"고 말했습니다. 
 
KT 광화문 사옥. (사진=뉴스토마토)
 
KT는 당초 이동가입자식별정보(IMSI)만 유출 정황이 확인된다고 했지만, 18일에는 국제단말기식별번호(IMEI), 휴대전화 번호 유출 정황도 있다고 밝혔습니다. 이에 대해 서울 YMCA 시민중계실은 "IMEI와 같은 다수 개인정보가 결합 되지 않고서는 소액결제가 이뤄질 수 없다"며 "이번 사태를 단순한 시스템 해킹이 아닌 심스와핑 등을 포함한 여러 가능성을 모두 염두에 둔, 다수의 개인정보가 유출된 심각한 보안 참사로 보고 대응해야 한다"고도 강조했습니다. 
 
합동조사단이 강도 높은 조사를 해야 한다는 점도 짚었습니다. 서울 YMCA 시민중계실은 "정부는 이번 해킹 사고를 불특정 다수의 국민이 피해를 입을 수 있는 중대 사안으로 인식하고 그에 맞는 적극적인 개입과 강도 높은 시스템 전수조사를 시행해야 한다"고 언급했습니다. 
 
이지은 기자 jieunee@etomato.com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김나볏 테크지식산업부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0/300

뉴스리듬

    이 시간 주요 뉴스

      함께 볼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