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7일간 대선 레이스…관전 포인트 '넷'
파면 이후 굳어진 '어대명'…변수로 떠오른 '단일화·개헌'
2025-04-08 17:15:05 2025-04-08 19:31:44
 
[뉴스토마토 박주용·이효진 기자] 윤석열씨 파면으로 치러지는 제21대 대통령 선거일이 6월3일로 확정되면서 57일간의 대선 레이스 일정이 시작됐습니다. 선거까지 남은 기간이 길지 않지만 대선판을 흔들 변수들이 적지 않습니다. 민주당에선 '이재명 대세론' 굳어진 가운데 당내 경선 흥행 여부가 관심입니다. 국민의힘의 경우 10여명이 넘는 후보들이 출마를 예고한 상황에서 이번에도 범보수 진영의 후보 단일화가 이뤄질지 주목됩니다. 여기에 정치권의 개헌 논의와 중·수·청(중도층·수도권·청년) 민심의 흐름도 대선 판도를 흔들 수 있는 요소로 꼽힙니다.
 
(그래픽=뉴스토마토)
 
①이재명 대세론
 
8일 정치권에 따르면 이재명 대표는 9일 오전 마지막 최고위원회의를 주재한 뒤 대표직에서 물러날 계획입니다. 대선 출마 선언은 다음 주가 될 것이란 전망이 지배적입니다.
 
윤석열씨 파면 이후 이른바 '이재명 대세론', '어대명'(어차피 대통령은 이재명) 흐름은 더욱 굳어지고 있습니다. 이날 공표된 <뉴스1·한국갤럽> 여론조사 결과(4월6~7일 조사·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3.1%포인트·전화조사원 인터뷰)에 따르면, 이 대표는 김문수 고용노동부 장관, 오세훈 서울시장, 한동훈 전 국민의힘 대표, 홍준표 대구시장, 안철수 국민의힘 의원과의 양자 대결에서 절반이 넘는 지지를 받았습니다.(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 참조)
 
'이재명 대세론'이 확고해지면서 민주당 내 경선에 대한 흥행을 걱정하는 목소리가 나옵니다. 당장 10여명의 후보가 출마를 예고하며 치열한 경선 레이스가 시작된 국민의힘과 달리 민주당은 이 대표를 제외하고는 다른 변수는 찾아볼 수 없기 때문입니다. 전날 김두관 전 의원이 출사표를 던진 가운데 9일엔 김동연 경기지사의 출마 선언이 예정돼 있지만, 이외 후보들은 이 대표의 사퇴 시점에 맞춰 출마 시점을 고민 중입니다. 김영록 전남지사는 대선 불출마를 선언하며 이 대표를 지지하고 나섰습니다.
 
②보수단일후보
 
반대로 국민의힘은 10여명이 출마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오는 등 후보가 난립하는 모양새입니다. 이날만 안철수 의원과 이정현 전 새누리당(현 국민의힘) 대표가 대선 출마를 공식화했습니다. 여기에 국민의힘의 유력 대권주자로 꼽히는 김문수 장관은 대선에 출마하기 위해 장관직에서 사퇴하면서 9일 출마를 예고했습니다. 이 외에도 유정복 인천시장과 이철우 경북지사가 김 장관과 같은 날 대선 출마를 공식화할 계획입니다. 여기에 한동훈 전 대표는 10일, 홍준표 시장은 14일을 출마 선언 시점으로 잡았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국민의힘이 한 명의 대선주자로 정리할 경우 이준석 개혁신당 의원과의 범보수 진영 후보 단일화가 가능할지가 관전 포인트입니다. 앞서 2022년 20대 대선에서도 선거 유세 막판 당시 국민의힘의 윤석열 후보와 국민의당의 안철수 후보가 단일화에 합의한 바 있습니다. 이를 통해 윤석열 후보가 가까스로 승리를 거둘 수 있었습니다.
 
다만 이준석 의원은 대선 예비후보로 등록한 이후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국민의힘에서 나를 모욕적인 주장을 통해 내쫓았기 때문에 그런 부분에 대해 어떠한 반성이나 사과의 기미가 없는 상황 속에서 단일화 논의는 무의미하다"고 선을 그었습니다.
 
오는 6월3일 21대 대통령 선거가 열린다. 대선을 57일 앞두고 정치권은 주요 '4대 변수'를 주목하고 있다.(사진=뉴시스)
 
③개헌연대 전선
 
정치권에서 쏟아지는 개헌론도 변수입니다. 우원식 국회의장은 지난 6일 대선과 개헌을 함께 치르자는 '동시 투표'를 주장했습니다. 이에 국민의힘도 즉각 화답했습니다. 권영세 국민의힘 비대위원장은 전날 비대위원회의에서 "국민의 뜻을 제대로 반영하는 개헌안을 마련해 대통령 선거일에 함께 국민투표에 부치는 방안을 추진하겠다"고 밝혔습니다.
 
하지만 이 대표와 민주당 내 친명(친이재명)계 의원들은 "개헌에 찬성한다"면서도 "지금은 내란 종식이 먼저"라고 선을 그었습니다. 우 의장이 제안한 대선·개헌 동시투표를 사실상 거부한 것입니다.
 
이에 따라 개헌을 고리로 한 '개헌 연대'로 대선의 전선이 확대할 조짐을 보입니다. 현재 우원식 의장과 국민의힘, 일부 비명(비이재명)계 인사들이 대선·개헌 동시투표 주장에 동의한 가운데 이재명 대표를 포함한 다수의 민주당 의원들은 이를 반대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전반적으로 대선·개헌 동시투표 찬성 세력이 이 대표와 민주당을 포위하고 있는 구도입니다. 무엇보다 개헌에 대한 지지 여론이 높은 상황에서 이 대표가 전략적으로 개헌 수용 입장을 밝힌다면 중도층과 비명계를 흡수할 수 있을 것이란 관측이 나옵니다.
 
④중·수·청
 
중도층과 수도권, 청년, 이른바 중·수·청 민심의 흐름도 이번 대선의 관전 포인트입니다. 국민의힘은 윤석열씨에 대한 탄핵과 파면 사태를 거치면서 상당수 이탈한 중·수·청 민심을 회복할 수 있을지 여부가 관건입니다. 특히 중도층의 경우 지난해 12·3 비상계엄 사태 이후 지금까지 대체로 60% 이상이 윤씨의 탄핵에 찬성하는 경향을 보였습니다.
 
지난 3일 공개된 엠브레인퍼블릭·케이스탯리서치·코리아리서치·한국리서치의 <전국지표조사(NBS)> 여론조사 결과(3월31~4월2일 조사·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3.1%포인트·전화면접조사)에 따르면, 중도층에서 윤씨에 대한 탄핵을 인용해 파면해야 한다는 응답이 65%로 나타났습니다. 최근 한 달간탄핵에 대한 의견을 보면, 중도층에선 70% 전후로 윤씨에 대한 파면에 찬성했습니다.
 
민주당의 경우엔 반이재명 정서 극복이 과제입니다. 지난달 26일 공직선거법 위반 사건 2심에서 무죄를 선고 받은 이후 이재명 대표의 사법리스크가 상당 부분 해소됐지만, 이 대표의 비호감 이미지가 여전히 존재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국민의힘도 싫지만 이재명도 싫다'는 중·수·청의 민심이 이 대표의 대권 가도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란 지적이 나옵니다. 다만 민주당 일각에선 정권교체를 바라는 민심이 상당하기 때문에 이 대표에 대한 중·수·청의 지지가 낮지 않을 것이란 관측도 제기됩니다.
 
박주용 기자 rukaoa@etomato.com
이효진 기자 dawnj789@etomato.com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최신형 정치정책부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지난 뉴스레터 보기 구독하기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