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김지평 기자] 중소벤처기업부가 내년도 예산안을 올해보다 10% 늘려 창업·벤처, 디지털 전환, 소상공인 지원에 집중합니다. 내수 침체를 극복하고 '진짜 성장'이 가능한 분야에 투자한다는 구상입니다.
중기부는 2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 별관에서 '2026년 중기부 예산안'을 발표했습니다. 내년 예산은 올해 본예산(15조2488억원)보다 10.5% 늘어난 16조8449억원으로 편성됐습니다. 소상공인 예산이 5조5278억원으로 가장 많고 △창업·벤처 4조3886억원 △디지털·AI 전환 3조7464억원 △지역 기업 생태계 구축 1조3175억원 등이 배정됐습니다.
전체 예산은 늘었지만 강도 높은 지출 구조조정을 통해 확보한 재원을 핵심 분야에 재투자할 계획입니다. 중기부는 내역 사업, 융자 사업, 경상비, 연구개발(R&D) 일몰 도래 사업 등을 줄여 총 1조9000억원을 마련하고 이를 재투자할 방침입니다. 중점 투자 분야는 △창업·벤처 △디지털·AI 전환 △소상공인 위기 극복 △지역 기업 생태계 활성화 △동반 성장 기반 구축 등 5대 분야입니다.
노용석 중소벤처기업부 차관이 2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 별관에서 2026년 예산안에 대해 브리핑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예산 증가 폭이 가장 큰 분야는 창업·벤처로, 올해보다 23.3% 증가한 4조3886억원이 편성됐습니다. 모태펀드 예산은 출범 이후 최대 규모인 1조1000억원으로 확대됐으며, 이 중 절반 이상을 인공지능(AI)·딥테크 분야에 투자합니다.
재도전 펀드는 올해 대비 2배 이상 확대하고, 세컨더리·기업 인수합병(M&A) 투자를 늘려 회수 시장 활성화를 지원합니다. 아울러 민간 벤처캐피털이 투자한 기업에는 성장 단계별 R&D 지원 체계를 확립해 지원 규모를 확대하고, 유니콘 기업 육성을 위한 320억원 규모의 '유니콘 브릿지' 사업도 신설합니다.
노용석 중기부 차관은 "벤처투자 시장이 과거에 비해 위축된 상황"이라며 "혁신 스타트업의 성장을 뒷받침해야 하는 정책적 당위성과 유니콘 육성을 향한 정부 목표가 분명한 만큼 적극 반영해 운영하겠다"고 말했습니다.
중소기업의 디지털·AI 전환에는 3조7464억원을 편성합니다. 중소 제조기업의 생산성과 효율성 향상과 경쟁력을 제고하겠다는 구상인데요. 중소기업의 R&D를 기획 단계부터 시장성까지 검증해 지원하고, '민관공동 기술사업화' 사업을 신설해 1299억원을 투입합니다. 스마트공장 보급 예산은 4366억원으로 85% 가까이 확대했습니다.
소상공인 예산, 올해 대비 2.5%↑…경영 안정 중점 지원
소상공인 예산은 올해보다 2.5% 증가한 5조5278억원입니다. 중기부는 소상공인의 수요가 적은 일시적 경영애로 지원 사업은 줄이고, 수요가 많은 경영 안정 지원 예산을 확대했다고 설명했습니다. 기업가형 소상공인 육성 예산은 1281억원으로 53% 확대됐고, 폐업·재취업 지원을 위한 희망리턴패키지는 3056억원으로 24.7% 늘었습니다.
지역경제 활성화 예산은 1조3175억원이 책정됐습니다. 혁신바우처(652억원), 글로벌혁신특구(177억원), 사업전환 촉진(668억원) 등이 포함됐으며, 지역혁신 선도기업 육성에는 3배 이상 증액된 969억원을 반영했습니다.
노 차관은 "대내외 위기로 어려움을 겪는 중소·벤처기업과 소상공인의 위기 극복과 경영 안정을 위해 5대 정책 지원 방향을 설정하고 예산을 편성했다"며 "중소·벤처기업과 소상공인이 성장할 수 있도록 모든 정책 역량을 투입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습니다.
노용석 중소벤처기업부 차관이 2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 별관에서 2026년 예산안에 대해 브리핑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김지평 기자 jp@etomato.com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고재인 자본시장정책부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