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뉴스토마토 유지웅 기자] 20대 일자리가 11분기째 줄고 건설업도 7분기 연속 감소한 반면, 60대는 크게 늘면서 연령·산업 간 고용 격차가 더 벌어진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전체 임금근로 일자리는 소폭 늘었지만 사실상 정체 수준이고, 이런 둔화 흐름이 이어지며 고용 구조의 양극화가 고착되고 있습니다.
(그래픽=뉴스토마토)
20대 가장 크게 줄고, 60대 가장 많이 늘었다
국가데이터처가 18일 발표한 '임금근로 일자리 동향'에 따르면 올해 5월 전체 임금근로 일자리는 2095만개로, 작년 같은 달보다 11만1000개 늘었습니다. 역대 최소였던 지난 1분기(1만5000개)에 이어 2번째로 작은 증가 폭입니다.
이 같은 부진은 일자리 증가 폭이 2022년 1분기 75만2000개 증가를 정점으로 꺾인 뒤, 2023년 4분기까지 7개 분기 연속 둔화해온 흐름의 연장선입니다. 2024년 들어 1분기에 31만4000개로 잠시 반등했지만, 2분기 25만4000개→3분기 24만6000개→4분기 15만3000개로 다시 축소가 이어졌습니다.
가장 큰 문제는 사회에 처음 진입하는 '20대 일자리 시장'이 사실상 얼어 있다는 점입니다. 이번 5월 수치 역시 '구조적 둔화' 국면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한 가운데, '20대 이하'(30세 미만) 일자리는 전년 같은 기간보다 13만5000개 줄어 모든 연령대 중 감소 폭이 가장 컸습니다.
이는 2분기 기준 역대 최대 감소 폭이면서, 2022년 4분기 이후 11개 분기 연속 감소세입니다. 20대 이하 일자리는 제조업(–2.2만개), 정보통신업(–2.1만개), 건설업(–2.1만개) 등에서 모두 감소했습니다.
건설업·제조업이 나란히 부진한 데다, 기업이 신입 채용을 줄이고 경력자를 선호하는 기조가 강해지면서 청년층이 선택할 수 있는 양질의 일자리가 한층 더 줄어든 것으로 분석됩니다.
한국경제인협회(한경협)의 '2025년 하반기 주요 대기업 대졸 신규 채용 계획' 조사에서는 작년 대졸 신입 채용자 중 28.1%가 경력자로 집계됐습니다. 전년보다 2.3%포인트 늘어난 수치입니다.
지난 5일 공개된 '경제활동인구조사 비경제활동인구'도 비슷한 흐름을 보여줍니다. 가사나 공부를 하고 있지 않은데도 일자리를 찾지 않는 '쉬었음' 인구 중 15~29세 청년층은 쉬는 주된 이유로 "원하는 일자리를 찾기 어려워서"(34%)를 꼽았습니다. '일자리가 없어서'(10%)도 뒤를 이었습니다. 20대 '쉬었음' 인구 비중은 2005년 3.6%에서 올해 7.2%로 두 배 이상 늘었습니다.
실제 청년층 고용률은 하락세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습니다. 지난 9월 기준 청년 고용률(45.1%)은 전년 같은 달보다 0.7%포인트 낮아졌으며, 17개월 연속 하락해 2009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최장 기록을 경신했습니다.
반면 다른 연령대에서는 흐름이 엇갈렸습니다. 40대 일자리는 8만개 감소한 반면, 30대와 50대에서는 각각 7만6000개, 1만5000개 증가했습니다.
가장 큰 증가 폭을 기록한 연령대는 '60대 이상'(23만5000개)이었습니다. 보건·사회복지(9만4000개), 사업·임대(2만7000개), 제조업(2만7000개) 등에서 늘었습니다.
지난 10월 서울 한 대학교 일자리플러스센터 채용 게시판 모습. (사진=연합뉴스)
건설업 이어 제조업도…보건·복지만 '훈풍'
건설업에서는 일자리가 14만1000개 줄며 7분기 연속 감소했습니다. 직전 분기(-15만4000개) 이어 역대 2위 감소 폭이며, 7분기 연속 감소한 것도 이번이 처음입니다. 부동산 경기 침체와 민간 건설 수주 부진 등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입니다.
4년 만에 감소세로 돌아선 제조업은 이번 분기에도 1만3000개 줄어 2분기 연속 감소했습니다. 특히 금속가공(-8000개), 섬유제품(-4000개), 기계장비(-3000개) 등에서 감소가 두드러졌습니다.
건설업에서 사용되는 자재·중간재 수요가 줄어든 데다, 최근 수출 흐름도 개선되지 않으면서 제조업의 일자리 회복 속도가 늦어졌다는 곳이 국가데이터처의 설명입니다.
반면 보건·사회복지업은 9만개 늘어 전체 일자리 증가세를 견인했습니다. 해당 분야 일자리는 통계 작성이 시작된 2018년 이후 한 해도 빠짐없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고령화로 요양·돌봄 수요가 늘어난 데다 관련 정부 일자리 정책의 영향도 반영된 것으로 풀이됩니다.
세종=유지웅 기자 wiseman@etomato.com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최신형 정치정책부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