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안산=뉴스토마토 차종관 기자] 세월호참사 11주기를 맞아 기억식이 거행됐습니다. 11년 동안 대통령은 3명이나 교체됐습니다. 하지만 그동안 크게 나아진 건 없습니다. 기억식에 참석하는 정부 관계자와 정치인들은 생명의 소중함을 강조하고, 더 안전한 사회를 만들겠다고 입을 맞추지만 사회적 참사는 매년 반복되고 있습니다. 세월호 유가족들이 원하는 진상규명은 답보 상태입니다. 시민들은 '참사 대응 시스템'을 만들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16일 경기 안산 화랑유원지 제3주차장에서는 4·16재단의 주최·주관으로 '세월호참사 11주기 기억식'이 열리고 있다. (사진=뉴스토마토)
16일 경기 안산 화랑유원지 제3주차장에서는 4·16재단의 주최·주관으로 '세월호참사 11주기 기억식'이 열렸습니다. 기억식엔 이재명 전 민주당 대표, 김경수 전 경남지사, 김동연 경기도지사 등 야당 대권주자들이 모두 출동했습니다. 또 우원식 국회의장, 권영세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 박찬대 민주당 원내대표, 강도형 해양수산부 장관, 이민근 안산시장 등 정치권 인사들도 참석했습니다.
추도사를 낭독한 김동연 지사는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지키지 않은 정권, 진실을 가리고 책임을 회피하는 데에만 급급했던 두 정권의 끝은 파면이었다"며 "완전히 새로운 대한민국은, 참사의 아픔과 교훈을 끝까지 기억하면서 더 안전한 사회를 만드는 것에서부터 출발한다"고 했습니다. 또 "세월호에서, 세월호와 함께 답을 찾아야 한다"며 "끝까지 잊지 않겠다"고 했습니다.
박승렬 4·16재단 이사장은 "진실과 책임이 이끄는 오늘의 변화를 통해 기억과 약속이 만드는 내일이 되는 시간이 되기를 바란다"고 했고, 김종기 4·16세월호참사가족협의회 운영위원장은 "11년이 지났지만, 아직도 세월호가 왜 침몰했는지, 국가는 왜 국민의 생명을 지켜주지 못했는지 알지 못한다. 끝까지 철저한 진상규명과 책임자 처벌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했습니다.
행사에선 △참사 희생자의 어머니 시점으로 제작된 기억영상 상영 △"나 여기 있어요"라는 주제의 뮤지컬 공연 △4·16합창단의 합창 공연 등이 진행됐습니다.
올해 세월호 11주기는 끝났지만, 현장에선 씁쓸한 여운을 남깁니다. 11년 동안 대통령은 3번이나 교체됐고, 정권은 3번이나 바뀌었습니다. 하지만 그 오랜 시간 동안 세월호 유가족들이 바라는 진상규명은 요원합니다. 정부 관계자와 정치인들은 더 안전한 사회를 만들겠다고 입을 맞추지만, 그동안 △이태원참사 △포항아파트 참사 △오송참사 △아리셀 화재참사 △제주항공 참사 등 사회적 참사는 매년 반복됐습니다.
최순화 4·16세월호참사가족협의회 대외협력사업 부서장도 <뉴스토마토>와의 통화에서 "참사 주기만 되면 각 지역에서 추모 행사에 나서 기억해주셔서 감사하다"면서도 "세월호 침몰의 원인이 내적 요인으로 인한 것이라는 최근 해양안전심판원의 결론에 동의할 수 없다. 속상하다"고 했습니다. 최 부서장은 참사 희생자 이창현군의 어머니이기도 합니다.
최 부서장은 이어 "그동안 정권이 3번 바뀌었다. 하지만 사회적 참사는 반복되고 있어 개탄스럽다. 하지만 유가족들은 끊임없이 진상규명과 변화의 목소리를 내고 있고, 국민들도 사회가 안전하지 않다는 것을 깨닫고 있다. 느리지만 결국 바뀔 것"이라고 했습니다.
16일 경기 안산 화랑유원지 제3주차장 '세월호참사 11주기 기억식' 현장에 이재명 전 민주당 대표, 김경수 전 경남지사, 김동연 경기도지사 등 정치권 인사들이 자리하고 있다. (사진=뉴스토마토)
세월호 유가족들은 시민사회와 함께 생명안전기본법 제정과 대통령기록물 공개를 요구하고 있습니다. 사회적 참사가 반복되는 만큼, 사고로 인한 직·간접적 피해를 예방하는 '참사 대응 시스템'을 만들자고 주장하는 겁니다.
생명안전기본법에는 △사고 원인에 대한 독립기구의 객관적·공정한 조사 보장 △구체적인 피해자 권리 명시 △피해자 지원책 마련 과정에 피해자 의견 반영 △안전권 명시 △해당 지역 공동체 치유책 마련 △피해자 모욕 시 처벌 규정 등이 담겼습니다. 해당 법안은 지난달 10일 발의됐지만, 소관 상임위원회인 행정안전위원회에서 논의되지 못한 채 계류 상태입니다.
최순화 부서장은 "정치인들과 기업이 참사에 대해 책임지지 않는 모습이 보이는 게 문제"라며 "생명안전기본법 제정을 통해 피해자들이 당당히 요구할 권리를 명시하고 계속 싸울 수 있는 밑바탕을 제공해줘야 한다"고 했습니다. 아울러 "대법원 판결이 나온 만큼, 박근혜 전 대통령의 7시간을 공개해야 한다. 윤석열의 내란 기록, 이태원 참사 기록도 삭제하거나 대통령 기록물로 봉인하지 않도록 막아야 한다"고 했습니다.
그는 "사회적참사특별조사위원회가 끝났지만, 진실책임포럼 등을 통해 진실에 다가가기 위한 노력을 하고 있다"며 "시간이 많이 지났지만, 진실에 대한 관심을 계속 가져주시고 잊지 말아달라"고 시민들에게 당부했습니다.
경기도 안산=차종관 기자 chajonggwan@etomato.com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최병호 공동체부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