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시내 소재 한 건물의 사무실이 공실 상태에 놓여 있는 모습. (사진=뉴시스)
[뉴스토마토 강영관 기자] 한때 투자 광풍이 불던 수도권 지식산업센터가 공급 과잉에 따른 공실 대란에 애물단지로 전락했습니다. '아파트형 공장'으로도 불렸던 지식산업센터는 일반 공장과 달리 수도권 공장총량제의 적용을 받지 않아 부동산 상승기였던 5~6년 전부터 수도권에 집중적으로 분양됐는데요. 주택과 달리 보유 개수에 상관없이 종부세, 양도세 중과 규제를 받지 않고, 전매 제한 및 대출 규제가 헐거워 투자자들에게 매력적인 상품으로 인식됐었죠. 저금리와 맞물려 투자 수요의 유입도 상당했습니다. 그러나 이들 물량이 준공된 2~3년 전부터 분위기는 반전됐습니다. 준공된 이후 경기침체로 인한 임차 수요 부진과 대출 규제 등이 맞물리면서 대부분 공실로 남아 있고, 투자 수요는 떠났습니다. 시장 수요를 무시한 채 들어선 지식산업센터는 이제 부동산 시장의 또 다른 뇌관으로 떠오른 모습입니다.
1970년대 대도시 내 소규모 작업장과 무등록 공장의 집단화를 위해 아파트형 공장이 도입됐습니다. 아파트형 공장은 2000년대 들어 첨단산업 업종이 입주 가능한 지식산업센터로 이름을 바꿨는데요. 지식산업센터는 금융과 보험, 교육, 의료, 무역, 판매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