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태효 전 국가안보실 1차장이 지난 11일 피의자 신분으로 조사를 받기 위해 서울 서초구 순직해병 특검팀 사무실로 들어서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뉴스토마토 박진아 기자] 윤석열정부에서 외교안보 정책을 주도하며 실세 참모로 꼽혔던 김태효 전 국가안보실 1차장이 순직 해병 특검팀에 출석해 일명 'VIP 격노설‘을 인정하는 취지로 진술한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김 전 차장은 지난 11일 오후 2시 50분께 서울 서초구 서초동 특검 사무실에 직권남용 권리행사 방해 혐의 피의자 신분으로 출석해 7시간가량 조사를 받은 뒤 오후 10시께 귀가했습니다.
그는 '윤석열 전 대통령의 격노가 없었는가', '순직해병 사건 이첩 보류 지시는 윤 전 대통령과 무관한지' 등을 묻는 취재진 질문에 "성실하게 대답을 했다"고만 말했습니다.
김 전 차장은 특검 조사에서 'VIP 격노설'이 나온 것으로 알려진 2023년 7월31일 대통령 주재 외교안보 수석비서관 회의 상황을 설명하며 "윤 전 대통령이 임기훈 당시 국방비서관의 보고를 받고 크게 화를 냈다"는 취지로 진술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VIP 격노설'은 윤 전 대통령이 수석비서관 회의에서 임성근 전 해병대 1사단장을 포함한 간부 8명을 업무상 과실치사 혐의로 경찰에 이첩한다는 보고를 받은 뒤 "이런 일로 사단장을 처벌하면 누가 사단장을 할 수 있겠느냐"며 심하게 화를 낸 뒤 경찰 이첩을 보류시키고 해병대 수사단의 조사 결과를 바꾸게 했다는 의혹입니다.
그동안 국회 증언 등을 통해 당시 회의에선 채 상병 사건 관련 보고가 없었고, 윤 전 대통령의 격노도 없었다고 주장했던 김 전 차장이 입장을 바꾼 것으로 해석됩니다.
정민영 특검보는 김 전 차장에 대한 조사가 마무리된 뒤 "수석비서관 회의 상황에 대해 주로 질문했으며 이후 사건 회수 등에 관여한 것이 있는지 등을 전반적으로 물어봤다"고 전했습니다.
민주당은 12일 김 전 차장이 'VIP 격노설'을 인정하는 취지의 진술을 한 것을 두고 "신속한 수사를 촉구하며 팔각모 사나이 해병대의 명예를 되찾겠다"고 밝혔습니다.
백승아 원내대변인은 이날 서면 브리핑을 통해 "윤석열의 격노로 원칙대로 조사한 박정훈 대령은 항명 수괴가 됐고, 채상병 순직사건은 조직적으로 은폐됐는데, 정권 실세였던 김태효의 확인으로 채상병 순직사건의 진실의 문이 열리게 됐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백 대변인은 "민주당은 윤석열을 비롯해 대통령실, 국방부, 해병대로 이어지는 권력형 수사 외압의 실체가 명확히 밝혀질 수 있도록 특검의 신속하고 성역 없는 수사를 강력히 촉구한다"고 강조했습니다.
박진아 기자 toyouja@etomato.com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최신형 정치정책부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