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규 수주 '실종'…건설투자 5년 연속 감소 '가시화'
업황 악화 속에서 안전관리 리스크까지 부각
2025-08-13 16:14:05 2025-08-13 18:06:47
[뉴스토마토 홍연 기자] 건설투자가 사상 처음으로 4년 연속 감소하는 등 건설업 침체 속에서 안전 관리 리스크가 중첩되면서 올해 역시 녹록지 않을 것으로 전망됩니다. 이재명 대통령이 산재와의 전쟁을 선포한 이후 안전사고가 발생한 건설사 임직원들이 줄사표를 제출하고 일부 사업장의 작업이 중단되기도 했는데요. 산재로 인한 강력한 처벌이 예고된 만큼 산업현장에서는 가급적 신규 수주를 꺼리는 분위기입니다. 
 
한국건설산업연구원(건산연)과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건설투자는 290조2000억원(잠정치)으로, 2020년 이후 4년 연속으로 감소했습니다. 연간 건설투자 규모가 4년째 줄어든 것은 관련 통계 작성이 시작된 1970년 이후 처음인데요.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3년 연속(2010년∼2012년)으로 건설투자가 줄었던 때보다 더 오랜 기간 동안 감소세가 지속된 것입니다. 
 
올해 역시 건설 업황 악화 속에서 안전관리 리스크까지 부각되며 건설투자는 5년 연속 감소세를 이어갈 가능성이 커졌습니다. 한은은 지난 5월 연간 건설투자가 6.1%가 감소할 것이라는 전망을 내놓았으며, 6월 건설산업연구원은 건설투자가 5.3% 감소할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실제 올해 1분기 건설투자는 전년 동기 대비 13.3% 줄었으며, 1~5월 누적 건설기성(2020년 불변 금액 기준)은 21.1% 감소해 올해 건설투자 감소는 불가피할 것으로 보입니다. 
 
(그래프=뉴스토마토)
서울 남산타워 전망대에서 바라본 건설 현장 모습. (사진=뉴시스)
 
박철한 건설산업연구원 연구위원은 "건설 수주와 투자가 모두 부진한 상황인데 특히 최근의 안전 이슈와 대출 규제 등 복합적인 불확실성이 해소되지 않으면서 착공이 지연되고 있고, 이는 건설투자 회복에도 영향을 주고 있다"면서 "회복 시점은 내년 하반기로 예상되며, 정부의 공급 정책 방향성과 안전관리 체계에 대한 명확한 정립이 시급한 상황"이라고 말했습니다. 
 
건설투자 역성장 전망…리스크 비용 확대 움직임
 
한국개발연구원(KDI)이 발표한 경제전망에서도 우리나라 건설투자의 역성장이 전망됩니다. 올해 우리나라 건설투자는 -8.1%로 지난 5월 전망보다 3.9%포인트 하향 조정된 것입니다. KDI는 부진한 건설 수주, 부동산 PF시장 정상화 지연, 대출 규제 강화, 건설 현장의 안전사고 여파 등을 건설 경기 부진 근거로 꼽았습니다. 건설투자 부진이 건설 업체 재무건전성 악화로 이어지면서 공사 진행에 차질이 발생할 수도 있다고 분석했습니다. 통계청이 발표한 2분기 지역경제 동향에서도 전국 17개 시·도 건설수주액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8.4%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12개 지역에서 건설수주가 줄며 지난해 1분기(-10.4%) 이후 5개 분기 만에 마이너스로 돌아섰습니다. 
 
건설업 침체 여파가 고용 지표를 통해서도 나타나고 있는데요. 통계청 국가통계포털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건설업 취업자 수는 193만9000명으로 집계됐습니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14만6000명이 감소한 것으로 외환 위기 때인 1999년 상반기 이후 26년 만에 가장 큰 폭으로 감소했습니다. 코로나19가 한창이던 2020년, 글로벌 금융위기 직후인 2009년보다도 감소 규모가 큰 것인데요. 지난해 하반기 10만2000명이 줄어든 데 이어 올해 들어 감소 폭이 점차 확대되고 있는 것입니다. 
 
실제로 건설업계에서는 신규 수주보다 안전관리 강화 등 리스크 관리에 비용을 확대하려는 움직임이 감지됩니다. 한 대형 건설사 관계자는 "전반적으로 수주 활동 위축은 불가피한 상황인 데다 안전비용이 늘어나면서 공사 원가 상승과 공기 연장 등이 발생할 것으로 본다"고 말했습니다. 
 
포스코이앤씨는 안전이 확보될 때까지, 인프라 사업 분야 신규 수주 활동을 잠정 중단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죠. 현대엔지니어링도 올해 중대 재해 사고가 잇달아 발생하면서 신규 수주를 위한 활동을 잠정 중단했습니다. 
 
배세호 iM증권 연구원은 "올해 6월 기준 건축물 착공 면적은 3672만㎡ 로 전년 대비 17% 감소했다"면서 "건설사들의 안전 비용 증가와 소극적인 수주 활동은 분양 물량과 건축물 착공 면적의 회복 시점을 지연시킬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여기에 건설안전특별법과 노란봉투법이 추진되는 것도 업계 부담을 가중하고 있는데요. 안전관리 의무를 위반해 인명 사고가 발생하면 건설사에 1년 이하 영업정지 또는 매출의 3% 이내 과징금이 부과될 수 있다는 것이 골자입니다. 매출액의 3%는 대형 건설업체들의 영업이익률과 맞먹는 수준입니다. 하청 노동자에 대한 원청의 책임을 강화하는 노란봉투법 역시 이달 임시국회에서 처리를 앞두고 있어 긴장감이 고조되고 있습니다. 
 
홍연 기자 hongyeon1224@etomato.com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강영관 산업2부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0/300

뉴스리듬

    이 시간 주요 뉴스

      함께 볼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