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화 다음은 ‘철강’…구조조정 본격화
정부, 이달 중 철강 구조개편안 발표
설비 통폐합 등 감축안 요구 담길 듯
2025-09-02 15:29:22 2025-09-02 15:39:00
[뉴스토마토 윤영혜 기자] 정부가 글로벌 공급 과잉으로 위기에 처한 석유화학산업 구조 개편을 추진하기로 한 가운데 다음 구조조정 대상은 ‘철강’이 될 전망입니다. 중국발 저가 공세와 건설 경기 악화에 따른 수요 부진에 더해 미국의 50% 관세 폭탄까지 ‘삼중고’에 빠진 국내 철강산업을 살리기 위해서입니다. 통폐합 중심의 사업 재편을 유도하고, 이에 따르는 기업에 다양한 인센티브를 제공할 것으로 관측됩니다. 
 
 
경기 평택시 포승읍 평택항 야적장에 철강제품이 쌓여 있다. (사진=뉴시스)
 
2일 업계에 따르면 정부는 이달 중 산업통상자원부를 중심으로 철강산업 구조조정 방안 발표할 예정입니다. 전날 문신학 산업부 제1차관은 “업계와 협의해 철강산업 구조조정 방안을 발표하겠다”고 밝혔습니다. 
 
국내 철강업계는 미국 수출길이 막힌 중국산 철강이 전 세계로 쏟아지는 와중에 수요 부진이 겹쳤습니다. 이는 공장 가동률 감소로 이어졌습니다.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올 상반기 철강 3사의 평균 가동률은 79.1%로 나타났습니다. 지난 1분기보다 소폭 개선됐지만 지난해 평균 가동률이 70%대로 떨어진 이후 현재까지 제자리걸음입니다. 
 
사정이 악화되자 국내 철강 기업들은 감산에 들어갔습니다. 포스코는 지난해 7월 포항제철소 1제강공장을 폐쇄하고 11월 1선재공장까지 문을 닫았습니다. 포스코는 2026년까지 비핵심 자산·사업을 매각해 2조원 가량의 현금 마련에 나설 계획입니다. 현대제철의 경우 올해 6월 초부터 포항2공장이 휴업에 들어갔고, BNG스틸 분리 등 자구 노력에 나섰습니다. 현대IFC 매각도 여전히 거론됩니다. 선재와 철근 등을 생산하는 코스틸도 포항공장 가동을 중단했고 설비 매각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자구 노력에도 상황은 악화됐습니다. 결국 지난달 28일 경북 포항시가 2년간 ‘산업위기선제대응지역’으로 공식 지정하기에 이르렀습니다. 
 
정부의 이 같은 결정의 배경에는, 민간 주도의 자율 재편이 지지부진한 가운데 ‘골든타임’을 놓칠 수 있다는 위기감이 작용한 것으로 풀이됩니다. 이번 대책은 석화업계와 마찬가지로 기업이 설비를 폐쇄·매각하거나 중복 사업을 통폐합하는 등 자발적 구조조정에 나설 경우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방식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중국발 공급 과잉에 경기 침체로 인한 수요 부진, 국내 설비 효율화 필요성 등 비슷한 구조이기 때문입니다. 
 
철강업계 관계자는 “철근 8개사, 형강 2개사, 고로 2개사, 후판 3개사 정도가 품목별로 겹치다 보니 저가 경쟁에 집착하게 되는 면이 있다”며 “철강업계 공급망에 대한 분석과 집적화로 사업 재편이 이뤄질 것”이라고 했습니다.
 
산업단지별 설비 통폐합 방안이 논의될 가능성도 있습니다. 철강업의 특성상 원료 수입을 위한 항만 시설과 넓은 부지 확보의 용이성, 운송 및 수출 편의성 때문에 바다를 끼고 산업단지를 이뤄 주요 철강 공장들이 위치해 있습니다. 업계 관계자는 “포항이 신호탄 아니겠냐”며 “당진, 인천, 부산 등 철강 공장들이 몰려 있는 지역에서 설비를 합치거나 공동 운영을 통해 실질 생산능력을 축소시키는 방안이 논의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사업 재편에 관한 특례 적용도 논의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어기구 더불어민주당 의원, 이상휘 국민의힘 의원 등 106명이 최근 공동 발의한 K-스틸법에는 철강사들이 사업 재편을 위해 공동행위를 할 때, 산업부의 승인을 받으면 공정거래법의 부당 행위 규정에 적용받지 않도록 특례를 규정한 내용이 담겼습니다. 
 
윤영혜 기자 yyh@etomato.com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오승훈 산업1부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0/300

뉴스리듬

    이 시간 주요 뉴스

      함께 볼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