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론) 소통, 이재명정부 최대 자산이자 과제
2025-10-15 06:00:00 2025-10-15 06:00:00
이재명정부가 출범한 뒤 넉 달가량이 지나고 있다. 여론 지형은 평균적으로 긍정 평가 60%, 부정 평가 23% 선이다. 인사 논란 등 몇 번의 ‘난제 풀이 구간’이 있었지만 지지 강도가 강하다는 걸 짐작할 수 있는 수치다. 계엄 내란으로 치러진 대선임에도 이 대통령의 대선 득표율은 50%에 조금 못 미쳤고, 국힘 후보가 41%를 얻었던 것을 감안하면 긍정 평가 60%는 높은 수치다. 거의 모든 연령대와 지역에서 긍정 평가가 앞선다는 것은 고무적이다. 역대 어느 정부에서도 볼 수 없었던 현상이다. 이재명정부는 굵직한 자산을 확보하고 시작한 셈이다. 
 
응답자들은 긍정 평가 요인으로 신속한 행정 집행력과 민생경제 호전 기대감을 꼽는다. 이 대통령 스타일상 '신속 행정'은 그만이 행할 수 있고 누릴 수 있는 장점임이 분명해 보인다. 역대 모든 정부가 출범 초 '체감 행정'을 내세웠지만, 가려운 곳을 바로 긁어주는 '타깃 행정'은 많지 않았다. 새 정부 출범 직후 휴일이었음에도 전격 발표한 ‘부동산 대출 6억 제한’이나 국장(증시) 부양책은 즉각적 반응을 불러일으키며 정권 교체 효능감을 끌어올렸다(물론 이들 조치의 효과 지속성은 좀 더 두고 볼 문제이기는 하다). 
 
필자는 긍정 평가의 세 번째 항목으로 꼽히는 ‘소통 능력’을 가장 주목한다. 어느 정부나 소통을 강조해왔으나 대개 구두 선에 그쳤다. 조기 강퇴 당한 윤석열정부는 소통 부문에서 낙제점을 넘어 빵점이었다. 그래서 집권 3년 내내 부정 평가 60~65%, 긍정 평가 24% 선에 머물렀다. 
 
민생경제나 주요 정책은 여론의 부침이 있을 수 있고, 결과가 의도대로 되지 않을 가능성도 상존한다. 그게 정책이고 국정이다. 그러나 어느 순간에도 소통 자세와 소통 창구가 견고하면 위기에 빠지는 일은 드물다. 소통이 되고 있다는 점은 공과에 대한 객관적 평가와 함께 정부의 고민이나 애로를 나눌 수 있거나, 최소한 ‘동의는 어려워도 이해는 할 수 있다’는 토대가 마련돼 있다는 것이기 때문이다. 국정 운영 차원에서 이는 매우 중대한 지점이다. 
 
미국과의 관세 협상은 드라마틱한 사례다. 트럼프의 폭력적이고 일방적인 관세정책에 우리가 능동적으로 대응할 힘이 그렇게 많지는 않았지만 미국 요구가 터무니없이 수탈적이고 일방적이라는 게 알려지면서 이 난제가 여론 지형 면에서는 새 정부에 플러스로 작용하고 있다. 응답자의 약 80%가 “협상이 길어지더라도 미국 요구에 굴하지 말고 우리 국익을 지켜야 한다”며 정부에 힘을 실어준다. 여론조사에서 80%라는 수치는 절대 다수라고 해석해도 될 만큼 강력한 수치다. 국가 간 협상 과정에서 모든 것을 다 공개할 수는 없지만, ‘미국의 요구가 이러이러해서 아직 결판이 나지 않고 있다’는 점을 적절한 선에서 알림으로써 국민의 강력한 지지를 이끌어낸 것은 그 자체로 성과다. 말하자면 난제 풀이에 소통을 효과적으로 활용한 것이다. 
 
어느 정부든 주요 정책이나 돌발 이슈로 인해 곤경에 처할 수 있다. 그때마다 사후 소방수 격으로 뒤쫓아다니며 해명/변명을 하면 여론을 주도적으로 이끌어갈 수 없다. 그래서 소통 자세와 능력에 주목하는 것이다. 소통의 기본은 겸손과 솔직, 그리고 '과유불급'이다. 하나만 고르라면 물론 겸손이다. 소통은 현 정부 최대 자산이자, 임기 끝까지 유지해야 한다는 점에서 과제다. 두 번이나 대통령을 탄핵하며 국난을 이겨낸 대한민국 국민은 “성공한 정부였다”라고 흔쾌히 평가할 수 있는 정부를 가질 자격이 차고도 넘친다. 국민주권정부이니 성공 의무가 다른 어느 정부보다도 막중하다는 걸 잘 알 것이다. 겸손한 소통이 답이다. 
 
이강윤 정치평론가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김기성 편집국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0/300

뉴스리듬

    이 시간 주요 뉴스

      함께 볼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