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20개국(G20) 재무장관회의와 국제통화기금 및 세계은행(IMF/WB) 연차총회 참석차 미국 워싱턴D.C.를 방문중인 구윤철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미국은행협회에서 프랑수아 필립 샹파뉴 캐나다 재무장관과 면담하기 앞서 악수하고 있다. (사진=기획재정부)
[뉴스토마토 김태은 기자] 구윤철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15일(현지시간) 취임 후 첫 국제 무대에서 생산성 높은 분야에 과감한 재정 투입으로 성장을 뒷받침하는 전략적 재정정책을 강조했습니다. 아울러 한국의 잠재성장률을 끌어올리기 위한 초혁신경제와 AI(인공지능) 대전환 전략을 소개했습니다.
구윤철 부총리는 이날 '제4차 주요 20개국(G20) 재무장관·중앙은행총재 회의' 및 '국제통화기금(IMF)·세계은행(WB)의 연차총회' 참석을 위해 미국 워싱턴D.C.을 방문했습니다. 구 부총리가 취임 후 처음으로 나서는 다자 국제 협의체 무대입니다.
구 부총리는 '세계경제 및 금융안정성 현안'을 주제로 열린 첫 번째 세션에서 세계경제가 불확실성 속에서 직변한 기술혁신, 인구구조 변화 등 구조적 전환에 대응해 생산성 높은 분야에 과감한 재정 투입으로 성장을 뒷받침하는 전략적 재정정책을 제안했습니다.
특히 잠재성장률을 높이기 위한 한국의 초혁신경제와 AI 대전환 전략을 소개했는데요. 구 부총리는 AI 반도체·제조업 등 AI 프로젝트와 전력반도체·SMR(소형모듈원전) 등 초혁신 기술에 대한 투자 계획을 공유했습니다.
아울러 누적된 글로벌 불균형이 세계경제 리스크 요인으로 대두되고 있는 현상을 우려했습니다. 그러면서 글로벌 불균형 해소를 위한 G20 차원의 논의 필요성을 제기했습니다.
'국제금융체제'를 주제로 열린 두 번째 세션에서 구 부총리는 G20 차원의 다자개발은행(MDB)의 평가 체계 지속 고도화를 통해 MDB 개혁을 지속해야 한다고 했습니다. 그는 혼합 금융 활성화를 위해 MDB의 혁신적 금융상품 활용과 수원국의 투자 여건 조성 노력을 촉구했습니다.
그는 개도국 부채 취약성 완화를 위한 G20 채무 재조정 체계를 바탕으로 신속하고 질서 있는 채무 재조정과 부채 투명성 강화를 강조했습니다. 일시적 유동성 위기를 겪는 개발도상국 채무 불이행에 빠지지 않도록 선제적 지원과 함께 채무국의 책임 있는 구조 개혁 필요성을 강조했습니다.
구 부총리는 비은행금융기관(NBFI)이 자본 이동 변동성, FX리스크 등 위험을 키울 수 있음을 언급했습니다. 또한 거시 금융 안정성을 위한 자본 이동 논의 지속을 촉구했습니다.
구 부총리는 이날 G7 회의 의장국인 캐나다의 초청으로 '인공지능과 금융 범죄·사기'를 주제로 열린 G7 고위급 대화에도 참석했습니다. 회의 참석자들은 AI 기술을 활용한 금융범죄·사기가 국경을 초월해 확대하는 상황에 대한 우려를 표하고, 신종 금융 사기·범죄 위협에 대응하기 위한 국제 협력 강화가 필요하다는 점에 공감했습니다.
구 부총리는 캐나다 프랑수아 필립 샹파뉴 재무장관과도 만나 최근 통상 현안을 논의하고, 경제 협력 방안에 관한 의견을 교환했습니다. 아울러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AI 대전환 정책에 대해 소개하면서, 캐나다와 앞으로도 긴밀한 협력을 기대한다고 강조했습니다.
김태은 기자 xxt197@etomato.com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최신형 정치정책부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