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세의 종말’…수도권 월세 상승률 10년래 최고
전세대출 막히자 ‘월세 시대’ 성큼…서울 월세 7%↑
정부 규제·입주 감소 여파…임대차 시장 구조 급변
2025-10-28 15:47:35 2025-10-28 17:00:56
 
[뉴스토마토 송정은·홍연 기자]  수도권의 월세 상승률이 통계 작성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하며 ‘전세의 월세화’ 흐름이 본격화되고 있습니다. 최근 정부의 10·15 부동산 대책으로 전세 매물이 줄어들고 월세 수요가 집중되면서 주거비 부담에 대한 우려도 커지고 있습니다. 
 
수도권 월세 변동률 2016년 이후 최대…서울 월세는 144만원
 
28일 KB국민은행이 발표한 월간 시계열 자료에 따르면 2025년 1월부터 9월까지 기준 수도권 아파트의 월세 상승률은 6.27%로 집계됐습니다. 2016년 관련 통계 집계 이후 가장 높은 수치입니다. 
 
(그래픽=뉴스토마토)
 
연도별 추이를 봐도 월세 상승률은 최근 몇 년 사이 뚜렷한 우상향 흐름을 보입니다. 수도권 기준 월세 상승률은 2020년 1.0%, 2021년 4.26%, 2022년 5.54%, 2023년 5.25%를 기록하며 꾸준히 높아지다 올해 최고치를 경신한 겁니다. 
 
이에 반해 전세 가격은 같은 기간 동안 등락을 반복했습니다. 2021년에는 10.38% 급등했지만 2023년에는 -6.66%로 급락하는 등 불안정한 흐름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2025년 들어서도 전세 상승률은 1.23%로 월세 상승률 대비 낮은 수준에 머물러 있습니다. 
 
지역별로는 서울의 월세 상승률이 7.25%, 경기 5.23%, 인천 7.80%로 나타났습니다. 
 
(그래픽=뉴스토마토)
 
반면 같은 기간 전세 상승률은 서울 2.08%, 경기 0.99%, 인천 0.39%에 그쳤습니다. 전세 가격 상승 폭이 제한적인 반면, 월세는 가파르게 오르며 임대차 시장의 중심축이 빠르게 이동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이러한 수치는 단기적인 시장 이상 신호라기보다 구조적 변화의 징후로 해석됩니다. 정부가 발표한 10·15 대책을 비롯한 일련의 정책들이 실거주 요건 강화, 갭투자 억제, 전세대출 규제 등을 포함하면서 전세 시장을 더욱 위축시킬 것이라는 분석이 나옵니다. 
 
여파는 시장 구성 비율에서도 드러납니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2025년 1~8월 기준 전국 주택 임대차 계약 중 월세 비중은 62.2%로 처음으로 60%를 넘어섰습니다. 특히 서울은 64.1%로 전국 평균을 상회했습니다. 
 
(그래픽=뉴스토마토)
 
전문가들은 이 같은 흐름이 상당 기간 지속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심형석 우대빵부동산연구소 소장은 “입주 물량이 줄면 임대차 가격은 오를 수밖에 없다”며 “지금은 전세에서 월세로 전환되는 흐름이 뚜렷하고 전세사기나 정부의 대출 규제 등으로 인해 월세 선호가 늘어나고 있다”고 분석했습니다. 
 
이어 “2028년까지 신규 입주 물량이 거의 없는 상황이라 임대차 시장 불균형은 앞으로도 계속될 가능성이 크다”며 “2017~2018년 임대사업자 등록이 만료되면서 시장 공급이 줄고, 이에  전·월세 가격을 올릴 수 있는 조건도 형성됐다”고 덧붙였습니다. 
 
심형석 소장은 “역전세 문제로 인해 기존 임대차 계약이 2026년~2027년에 순차적으로 종료될 가능성이 높고, 시장에 매물이 나오지 않는다면 가격 상승은 불가피하다”며 “신규 공급이 현실적으로 어려운 상황인 만큼 기존 매물이 시장에 유입될 수 있도록 규제를 완화하는 정책이 병행되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경기도 광명시의 한 아파트 단지 모습. (사진=송정은 기자)
 
김인만 김인만부동산연구소 소장도 전세제도의 구조적 한계를 지적하며 “시대 흐름 자체가 월세 중심으로 이동하고 있다”며 “전세는 본질적으로 불안정하고 사기 위험이 높아지고 있으며, 정부도 실거주 중심 정책을 통해 전세제도 자체를 줄여가고 있는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이어 “전세사기, 대출 제한 등으로 인해 집주인들이 월세를 선호하고, 세입자 역시 어쩔 수 없이 월세로 옮겨 가고 있다”며 “이런 흐름은 최소 내년까지 지속될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김인만 소장은 “이제는 월세 중심 시대에 맞춰 정책도 전환되어야 하며 단순한 규제보다는 서민 대상의 월세 대출 제도 확대, 비아파트 공급 확대 등 실질적인 대응이 필요하다”고 말했습니다. 
  
송정은·홍연 기자 johnnysong@etomato.com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강영관 산업2부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0/300

뉴스리듬

    이 시간 주요 뉴스

      함께 볼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