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유지웅 기자] 김민석 국무총리가 17일 서울시가 광화문광장에 조성 중인 '감사의 정원' 사업 전반에 대해 법적·절차적 문제가 없는지 점검하겠다고 밝히면서, 중앙정부와 서울시 갈등이 고조되고 있습니다.
김민석 국무총리가 17일 서울 광화문광장에 조성중인 '감사의 정원' 공사 현장을 찾아 외곽 펜스에 그려진 조감도를 살펴보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감사의 정원은 서울시가 6·25전쟁 참전국에 대한 감사 의미를 담아 조성하는 상징 공간입니다. 내년 5월 완공을 목표로 추진 중이며, 22개 참전국을 상징하는 기둥이 하늘을 향해 빛을 쏘아 올리는 형태입니다.
김 총리는 이날 광화문 공사 현장을 둘러본 뒤 "이런 문제는 국가 대계 차원에서 멀리 보고, 국민 뜻을 충분히 듣고 반영하면서 합리적으로 추진하는 게 좋지 않겠는가"라고 말했습니다.
이어 "오늘 시민단체 등으로부터 이런 말씀을 들었기 때문에, 행정·절차·법적 측면에서 살펴볼 부분이 있는지 챙겨보도록 하겠다"고 했습니다. 실제 행정안전부에도 관련 검토를 지시했습니다.
김 총리는 "세종대왕과 이순신 장군을 모신 공간에 '받들어총' 형태의 석재 조형물을 설치하는 것을 국민께서 이해하실지 의문"이라며 "외국에서 돌을 받는다는 전제로 사업을 진행하는데, 그 확약이 안 돼 있는 상태라고 들었다"고 지적했습니다.
이어 "그렇게 사업을 서두를 필요가 있는지, 또 취지는 광화문이 아닌 다른 곳에서도 충분히 실현할 수 있지 않은지 의문"이라고 언급했습니다.
현장 이동 중에는 가림막 등을 살펴보며 "국가 상징 공간이 아니라, 국가 상징을 이상하게 만든 것"이라며 "진짜 이상하다"고 직격하기도 했습니다.
이날 점검에 동행한 방학진 민족문제연구소 기획실장은 "프랑스 파리 개선문 아래에는 (조국을 위해 목숨을 바친 신원 미상 군인을 추모하는) '영원의 불꽃'이 있는데, 우리는 상징 공간에 한국을 위해 헌신한 무명의 독립투사가 아닌 외국 군대의 상징이 있다"며 "유래를 찾아볼 수 없다"고 비판했습니다.
현재 이 시설을 두고 "한·미 동맹의 상징 공간으로 만들겠다"는 오세훈 서울시장과 "광장을 사유화한다"는 시민단체 입장이 부딪히고 있습니다.
최근 김 총리와 오 시장은 '종묘 앞 재개발'과 '한강버스 사고'를 둘러싸고 잇달아 충돌하고 있습니다.
김 총리는 전날 강바닥에 걸려 멈춤 사고가 난 한강버스의 안전성을 거론하며 "서울시는 행안부와 협조해 이번 사고 원인을 철저히 조사하고, 선박·선착장·운항 노선의 안전성을 전반적으로 재점검하라"고 지시했습니다.
지난 10일에는 종묘를 찾아 주변 조망을 확인한 뒤 "앞으로 고층 건물이 들어서면 바로 턱 하고 숨이 막히겠다"며 "문화와 경제, 미래 모두를 망칠 수 있는 결정을 해선 안 된다"고 우려를 나타냈습니다.
오 시장은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중앙정부가 나서 일방적으로 서울시를 매도하고 있어 유감"이라고 쓴 데 이어 "국무총리가 특정 기관(국가유산청·전 문화재청)의 일방적인 입장에만 목소리를 보태고 있다"며 거듭 불만을 드러냈습니다.
유지웅 기자 wiseman@etomato.com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최신형 정치정책부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