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jpg)
5세대(5G) 이동통신 상용화 2년 차다. 5G 가입자가 매달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지만, 롱텀에볼루션(LTE) 대비 증가율이 더딘 상황이다. LTE 대비 상대적으로 높은 요금제와 5G 커버리지에 대한 불만으로 가입자 확대가 제한적이다. 5G 보조금 확대 여부에 따라 가입자 확대가 연동되고 있는 실정이다.
지난 3월 말 기준 국내 5G 가입자는 588만1177명이다. 전체 이동통신 가입자 수 6915만4363명으로, 5G 가입자가 차지하는 비중은 8.5%를 차지했다. 이는 LTE와 비교하면 다소 낮은 수준이다. 2011년 7월 상용화 서비스를 시작한 LTE는 12개월째를 맞은 2012년 6월을 기준으로 708만993명의 가입자를 확보했다. 당시 전체 무선 통신 서비스 이용자는 약 5394만명으로, 전체 가입자 대비 LTE 이용자 비중은 13.12%다.
5G 가입자는 현재 이동통신사 보조금 확대 여부에 따라 증가폭이 연동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5G 가입자는 지난해 5월부터 7월까지 매달 50만명씩 증가했다. 8~9월에도 각각 90만명, 70만명 가까이 늘며 정점을 찍었다. 파격적인 공시지원금에 일부 대리점을 중심으로 불법지원금까지 동원되면서 '5G폰=0원'이라는 소비자 인식이 팽배했던 시점이다. 하지만 이통사가 보조금을 줄이자 11월 들어서는 5G 가입자 증가가 37만명대로 주춤했다. 올초까지 쥐꼬리 공시지원금에 5G 가입자 성장세도 주춤했지만, 지난해 5G폰 재고처리가 활발해지면서 두달 연속 상승폭을 키우고 있다.
언제까지 5G 수요 확대를 이통사 지원금에 의존할 수 없다. 양질의 서비스를 비교적 저렴한 가격에 이용할 수 있다는 논리로 접근해야 한다. 이통 3사는 5G 가입자 부족에 따라 투자비용 회수가 어렵다는 입장이지만, 중저가 요금제 확대를 통해 소비자 확대에 나서야 한다. 5G 대중화 및 활성화를 위해서는 다수 가입자가 부담없이 이용할 수 있는 중저가 요금제가 필수적이라는 얘기다.
특히 이달에는 삼성전자 갤럭시A51을 비롯해 LG 벨벳 등 중저가 5G 스마트폰 출시가 예고돼 있다. 중저가 스마트폰 출시 수요를 중저가 요금을 통해 이어받아야 한다. 이통사들은 청소년, 노년층 층에 대한 중저가 요금제를 운영하고 있다. 5G 중저가 스마트폰이 점차 확대됨에 따라 이를 다수가 이용할 수 있도록 중저가 요금제 확대를 검토해봐야 할 시점이다.
이지은 중기IT부 기자(jieunee@etomato.com)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김나볏 테크지식산업부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