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용 통제로 이익률 높여온 SKT, 해킹 앞에 '무릎'
10년만에 10% 이익률…1분기는 11% 전망
비용효율로 통신3사 중 유일 두자릿수 이익률
유심해킹 이후 가입자 유출…이미 지난해 순감 수준
OI 경영 힘들어져…국회·정부 압박까지 이중고
2025-05-02 11:33:19 2025-05-02 18:01:13
[뉴스토마토 이지은 기자] SK텔레콤(017670)의 운영효율개선(OI·Operation Improvement) 기조가 유심 정보 해킹이란 초유의 사태 앞에 꺾일 위기에 놓였습니다. SK텔레콤은 그간 비용 통제 속 통신3사 중 영업이익률 면에서 두각을 드러내 왔으나 이같은 노력이 수포로 돌아가면서 수익성 확보에 빨간불이 켜졌습니다. 연간 10조원 이상 안정적인 매출을 기록해왔던 이동통신부문의 역성장도 불가피할 전망입니다.
 
SK텔레콤은 지난해 매출 17조9400억원 영업이익 1조8200억원으로 영업이익률 10.1%를 기록했습니다. 10년 만에 영업이익률 10%를 회복했습니다. KT(030200)LG유플러스(032640) 영업이익률이 줄어든 것과도 비교됩니다. KT는 지난해 영업이익률 3.5%로 전년대비 3.7%포인트 감소했고, LG유플러스 역시 7.3%로 1.3%포인트 줄었습니다. 
 
해킹 사태가 터지기 전인 1분기 역시 영업이익률 선두는 SK텔레콤이 차지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금융정보업체 와이즈리포트는 SK텔레콤이 1분기 매출 4조5042억원, 영업이익 5352억원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매출은 지난해 수준이지만, 영업이익은 7%가량 늘어날 것으로 예측됐는데요. 예상 영업이익률은 11%입니다. 인건비 감소로 1분기 영업이익 33% 증가가 예상되는 KT의 영업이익률 9.7%보다도 높은 수치입니다. LG유플러스 예상 영업이익률 6.7%보다는 1.5배 이상 높습니다. 
 
SK텔레콤 T타워. (사진=뉴스토마토)
 
SK텔레콤은 임원 수를 줄이고, 비핵심 계열사를 매각하며 운영비 절감에 나섰습니다. 영업이익 개선은 자연스레 뒤따랐습니다. 김양섭 SK텔레콤 최고재무책임자(CFO)는 지난해 4분기 실적을 발표한 2월 당시 "올해도 OI를 추진해 효과가 지속하도록 관리하겠다"고 말하며, OI 중심 경영에 중점을 둘 것임을 예고한 바 있습니다. 
 
OI에 따른 비용효율화에도 SK텔레콤 실적은 올해 1분기만 반짝 높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지난달 발생한 고객 유심 정보 유출로 SK텔레콤을 탈출하려는 고객들이 늘어나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동통신 매출은 지난해 기준 전체 매출의 58%가량을 차지, SK텔레콤의 주된 수익원입니다. 
 
SK텔레콤 유심 해킹 관련 대국민 발표문. (사진=뉴스토마토)
 
SK텔레콤은 지난달 22일 해킹 사태를 공식화하고 본격적인 대응에 나섰습니다. 즉시 유심보호서비스 가입을 권고했고, 비정상인증시도차단(FDS)을 강화했습니다.
 
그럼에도 유심 무료 교체가 시작된 날을 중심으로 SK텔레콤 순감은 큰폭으로 증가했습니다. 알뜰폰을 제외한 통신3사 간 번호이동 추이를 보면 해킹 발표 전 일별 최대 순감은 137건에 불과했는데요. 유심 무료 교체 발표 이튿날인 지난달 26일 1665건 순감했고, 유심 무료 교체 시작일인 28일에는 2만5403건, 29일 3만2640건, 30일 3만2290건 순감을 기록했습니다. 3일간 총 9만333건 순감입니다. 이 여파로 지난달 알뜰폰을 포함한 SK텔레콤 순감 규모는 11만4330건으로 급증했습니다. 1~3월 월평균 순감 수치가 1만6214건이었는데, 7배가량 늘어난 수치입니다.
 
1~4월 순감은 이미 지난해 연간 수치에 버금갑니다. 지난해 연간 SK텔레콤의 순감은 16만3671건이었는데요. 1~4월 순감 수치 합계는 16만2973건입니다. 통신업계 관계자는 "연간 순감 규모를 단 며칠 사이에 채웠다"면서 "SK텔레콤으로서는 역대 최대 위기에 가깝다"고 말했습니다. 
 
알뜰폰 고객을 포함 2500만명에 가까운 고객에 유심 교체를 완료하려면 석달 가까이 소요될 것이란 게 회사측 설명입니다. 유심 확보와 교체 처리에 시간이 소요될 수밖에 없는데, 정부와 국회 압박이 지속되고 있어 부담이 더욱 커지고 있습니다. 국회는 번호이동을 원하는 고객에게 위약금을 면제해 줘야 한다고 압박하고 있고, 정부는 유심 공급이 원활해질 때까지 신규 모집을 중단하라는 행정지도를 내렸습니다.
 
통신업계 다른 관계자는 "고객을 다시 확보하려면 마케팅 비용을 늘릴 수밖에 없는데 OI 경영 기조에 반대되는 것이고, 동시에 이번 가입자 유출은 이용자들의 자발적 이동이 큰 것이 부담일 수 있다"며 "해킹에 따른 이미지를 다시 세우는 것부터 유무형의 비용이 투입될 수 있어 보인다"고 진단했습니다.  
 
이지은 기자 jieunee@etomato.com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김나볏 테크지식산업부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지난 뉴스레터 보기 구독하기
관련기사
0/300

뉴스리듬

    이 시간 주요 뉴스

      함께 볼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