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란이 걸어갈 길(3)재 속의 불씨―중동 지역의 세력 균형
이란의 집단 기억과 '항복 외교' 금기
휴전 국면 바라보는 이란의 계산법
중동 안정의 열쇠, 이란과의 새로운 합의
2025-11-19 06:00:00 2025-11-19 06:00:00
이란은 중동에서 지정학적으로 핵심적 위치를 차지하며 시아파 종주국으로서 종교적 영향력을 발휘하는 국가입니다. 석유·가스 등 풍부한 자원과 젊은 인구구조를 갖추고 있지만, 핵 프로그램을 둘러싼 갈등과 국제 제재로 경제적 불확실성이 지속되고 있습니다. 그럼에도 중국을 비롯한 주요 교역 파트너와의 에너지 거래, 한국을 포함한 외부 세계와의 협력 수요는 여전히 잠재적 기회로 남아 있습니다. 리스크와 기회가 공존하는 이란의 경제와 국제적 역할을 짚어봅니다. (편집자 주)
 
가자지구의 휴전은 트럼프 평화 구상 이행 과정에 내재된 여러 위험에도 불구하고 중동 지역에 오랜만의 긴장 완화와 잠시의 안정을 가져왔다. 향후에는 하마스의 무장 해제, 이스라엘의 철수, 그리고 국제 감시하의 팔레스타인 자치 행정 수립이 단계적으로 진행될 예정이다. 그러나 이러한 각 단계에는 상당한 난관이 존재하며 평화 구상이 좌초될 가능성 또한 여전히 배제할 수 없다. 만약 그럴 경우 중동의 긴장은 다시 급격히 고조될 것이다. 
 
그러나 이 평화 구도에 영향을 미칠 또 하나의 핵심 행위자가 있다. 바로 이란이다. 이란은 이번 평화안을 어떻게 바라보고 있을까? 중동 지역의 긴장 완화는 이란의 이익에 부합하는가? 또한 이란과 이스라엘 간의 지속 가능한 휴전, 나아가 중동의 포괄적 평화는 이란과 서방 간의 협상 및 분쟁 해결 없이도 가능한 일일까? 그리고 전쟁, 핵시설 공격, 유엔 제재 복원을 거친 지금, 이란은 이제 미국 및 서방과의 새로운 합의를 이룰 준비가 되어 있는가?
 
지난 10월13일 이집트 샤름엘셰이크에서 열린 가자 평화 정상회의. (사진: AP통신)
 
역사적 관점
 
19세기 초 이란과 러시아 간에 장기간 이어진 소모적인 전쟁은 결국 1813년 굴리스탄 조약과 1828년 투르크멘차이 조약의 체결로 막을 내렸다. 이 조약들로 인해 이란은 광범위한 영토를 러시아에 할양했고, 이 사건은 이란 국민의 집단 기억 속에 깊이 각인되었다. 이란의 시각에서 이러한 조약들은 적에게 '굴복'한 역사적 치욕의 상징으로 여겨지며, 현재의 정치·사회적 분위기 속에서 그러한 결과는 결코 용납될 수 없는 것으로 인식된다. 따라서 외세의 요구에 대한 최대 저항은 줄곧 이란 외교의 핵심 기조로 자리해왔다. 
 
이란 정치 내 다양한 세력들은 서방과의 협상이나 관계 개선을 시도할 때마다 이러한 노력이 곧 굴리스탄·투르크멘차이 조약과 다를 바 없는 '항복'의 행위라고 비판해왔다. 이러한 논조는 특히 2015년 핵합의(JCPOA, 포괄적 공동행동계획) 체결 당시 로하니 정부를 비판하던 반대 진영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오늘날 특히 미국의 이란 핵시설 공격 이후 이러한 인식은 정책결정자들 사이에서 더욱 공고해졌다. 그들에게 미국과의 협상은 과거의 굴욕적인 조약들과 다를 바 없는 굴복의 행위로 여겨진다. 이러한 시각은 두 가지 핵심적인 이유에 근거한다. 
 
첫째, 서방이 여전히 이란에 우라늄 농축 포기를 요구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는 과거 전쟁 이전 협상이 번번이 결렬된 주요 원인이며, 이에 더해 이란은 미사일 사거리 축소 요구를 또 하나의 '레드라인'으로 간주한다. 이란의 시각에서 이를 수용하는 것은 사실상 항복을 의미한다. 
 
둘째, 다수의 정치 분석가들은 이란이 이스라엘에 가한 미사일 공격을 통해 이미 충분한 억지력을 확보했다고 평가한다. 따라서 이란은 이런 상황에서 굳이 항복을 의미하는 어떠한 합의에 서명할 필요가 없다고 판단하고 있다. 
 
한편, 전면전의 가능성이 낮아지고 유엔 제재 복원(스냅백) 메커니즘이 작동된 이후에 이란 경제는 점차 안정세를 보이고 있다. 이달 테헤란 증시는 326만5337포인트를 기록하며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이는 불과 한 달 전 이스라엘과의 충돌 이전에 세운 기존 최고 기록을 넘어선 것으로, 전쟁 충격에서 벗어나 시장이 회복세에 들어섰음을 보여준다. 또한 선박 추적업체인 탱커트래커스에 따르면 10월 이란의 원유 수출량은 하루 230만배럴로 7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이처럼 억지력에 대한 자신감 회복과 경제 안정의 강화는 이란으로 하여금 그 어느 때보다도 공정한 합의를 강하게 주장하게 만들고 있다. 즉, 핵 문제에 초점을 맞추되 이란의 우라늄 농축권을 보장하고, 동시에 핵무기 개발 의도가 없음을 국제사회에 명확히 알리는 합의를 추구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미국이 아직 이러한 관점에 부합하는 입장을 내놓지 않고 있기에 전쟁 이후 양국 간 공식 협상이 재개되지 않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양측 모두 과거의 비공식적 소통 채널은 여전히 열려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가자지구 휴전, 이란은 어떻게 보고 있나
 
가자지구 휴전에 관하여 이란은 여전히 이스라엘을 국가로 인정하지 않지만 한 가지 중요한 원칙을 일관되게 유지해 왔다. 즉, 팔레스타인인들이 자신들의 문제와 이스라엘과의 관계에 대해 내린 어떠한 결정이든 이란은 이를 존중하고 수용한다는 원칙이다. 따라서 이란 외무장관이 휴전 이후 밝힌 바와 같이 이란은 팔레스타인 단체들이 수용한 협정과 합의라면 이를 지지한다는 입장을 유지하고 있다. 
 
또한 이란은 저항 세력의 무장 해제를 지지하지는 않지만 2023년 10월 이후 급변한 역내 정세(특히 바샤르 알 아사드 정권의 붕괴와 레바논 내 헤즈볼라의 변화된 입지)를 고려할 때, 중동 내 긴장 완화로 이어지는 어떤 움직임이든 환영하는 태도를 보이고 있다. 특히 레바논과 가자지구에서의 긴장 완화는 이란 자체에 대한 재공격 위험이 줄어들고 있음을 시사한다.
 
이에 따라 현재 이란의 정책결정자들이 올해 초 국경 침범 사태로 정점에 달했었던 긴장 국면에서 벗어나고 있는 현 상황에 반대하고 있다고 보기는 어렵다. 트럼프 평화안의 실제 내용과 무관하게 분쟁의 불길이 잦아들고 있다는 사실 자체만으로도 테헤란에게는 만족스러운 결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중동의 세력 균형, 왜 필요한가
 
아바스 아락치 이란 외무장관은 “팔레스타인인들이 받아들인 어떤 합의든 이란은 지지한다”고 밝혔다. (사진=자마란 뉴스)
 
현재 가자지구 휴전이 진전될 수 있었던 것은 미국의 보다 균형 잡힌 중동 정책과 아랍 국가 및 터키의 협력 덕분이었다. 이러한 변화는 결과적으로 이란이 이번 휴전을 환영하게 만든 주요 요인이 되었다. 그러나 만약 이러한 균형적 접근이 유지되지 않는다면 중동은 언제든 다시 극심한 긴장 국면으로 되돌아갈 가능성이 있다. 
 
미국이 이스라엘로 하여금 가자지구 휴전을 준수하고 북부 국경 지역에서의 폭격을 자제하도록 압박할수록, 동시에 아랍 국가들과 지역 주요 행위자들이 팔레스타인 세력의 휴전 준수를 보장하는 데 성공할수록 중동의 평화는 한층 더 안정적으로 지속될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이란 핵 문제의 평화적 해결은 지역 내 실질적 세력 균형을 유지하는 데 필수적인 요소로 평가된다. 
 
2015년 핵 합의와 유사한 새로운 협정이 마련되지 않는 한 이란 핵 문제의 근본적 해결은 어렵다. 이란은 이미 핵기술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다른 시설에서도 우라늄을 농축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고 있다. 따라서 최근 12일간의 전쟁에서 보았듯 단순한 폭격이나 물리적 파괴만으로는 근본적인 해결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미국과 국제사회는 이란과 새로운 합의를 모색해야 한다. 이러한 합의는 이란을 국제사회로 복귀시키는 동시에 2023년 10월7일 이후 변화한 지역 정세를 고려할 때 테헤란이 중동 내 긴장 완화에 기여하고 새로운 갈등을 자제하도록 유도하는 동기가 될 것이다. 
 
결국 이란과의 새로운 합의는 국제사회에 핵 문제에 대한 신뢰를 회복시키는 동시에 중동 지역 내 새로운 분쟁의 위험을 낮추는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그러나 만약 이러한 합의가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지금은 전쟁의 불길이 잦아든 듯 보일지라도, 이는 언제든 다시 타오를 수 있는 재 속의 불씨에 불과할 것이다. 
 
푸야 자발 아멜리 경제학자·전 도냐에-엑테사드 일간지 편집장 
 
 
Embers Beneath the Ashes―Balance of Power in the Middle East
 
The ceasefire in Gaza—despite all the risks for implementing the next steps laid out in the Trump Peace Plan—has returned relative calm to the Middle East. The disarmament of Hamas, the withdrawal of Israel, and the administration of Gaza by Palestinians under international supervision constitute the next stages; each comes with considerable challenges, and there remains the very real possibility that the peace initiative could ultimately fail. Such failure would mean the return of tensions to the region. However, there is another important player which could effect on the peace intuitive: Iran. How does Iran view the peace plan? Is the reduction of tensions in the Middle East aligned with its interests? Is a sustainable ceasefire between Iran and Israel—and wider peace in the Middle East—possible without negotiations and the resolution of disputes between Iran and the West? And is Iran, after the war, attacks on its nuclear facilities, and the reinstatement of UN sanctions, now prepared to reach an accord with the United States and the West?
 
A Historical Perspective
 
In the early nineteenth century, protracted and exhausting wars between Iran and Russia eventually ended with the Treaties of Golestan and Turkmenchay, through which significant Iranian territory was ceded to Russia. This event has always lingered in the Iranian collective memory; these treaties are seen, from the Iranian perspective, as symbols of "surrender" to an adversary—an outcome the current political and social climate of Iran emphatically rejects. Consequently, "maximum resistance" to foreign demands has consistently been at the heart of Iranian diplomacy. Rival political groups have, at times when others have pursued negotiation and rapprochement with the West, compared such efforts to the aforementioned treaties to suggest that any potential agreement equates with surrender. This was a common theme among political opponents of President Rouhani's administration during the signing of the 2015 nuclear deal (The Joint Comprehensive Plan of Action: JCPOA).
 
Today, especially following the U.S. attack on Iran's nuclear facilities, this narrative is even more entrenched among decision-makers: that negotiation with the U.S. constitutes a kind of "surrender" akin to those infamous historical treaties. This approach is rooted in two main reasons. First, the other side continues to ask Iran to abandon uranium enrichment—a key reason why previous pre-war negotiations failed—and also demands reductions in the range of Iranian missiles, a further red line that, from Iran's perspective, amounts to surrender. Second, most political analysts believe the missile strikes on Israel have established sufficient deterrence, making it unnecessary for Iran, under these circumstances, to accept any agreement that signifies capitulation.
 
At the same time, Iran's economic situation—amidst diminished war prospects and the activation of the "snapback" mechanism—indicates growing stability. This month, the Tehran stock exchange hit a historic high of 3,265,337 units, surpassing its previous record set just a month prior to the recent conflict with Israel, demonstrating the market's recovery from the shock of war. Additionally, TankerTrackers reports that Iranian oil exports in October reached an unprecedented 2.3 million barrels per day—the highest figure in seven years.
 
As such, both renewed confidence in deterrence and increased economic stability have led Iran to emphasize, more than ever, its insistence on a fair agreement—one that focuses primarily on nuclear issues and, by safeguarding Iran's right to enrichment, reassures the world that the country is not seeking to build a nuclear bomb.
 
Since the U.S. has yet to adopt a stance tangibly aligned with this outlook, there have been no formal negotiations between the two countries since the war, even though both sides claim previous communication channels remain open.
 
The Gaza Ceasefire from Iran's Perspective
 
Regarding the Gaza ceasefire, although Iran does not recognize Israel, it has consistently abided by an important principle: any decision made by the Palestinians regarding themselves and their relationship with Israel will be accepted by Iran. Thus, as Iran's foreign minister stated following the ceasefire, Iran supports the pact and any agreement accepted by Palestinian groups.
 
Furthermore, Iran does not advocate the disarmament of resistance groups; yet, in light of the shifting regional landscape since October 2023—especially after the fall of Bashar al-Assad’s government and the situation of Hezbollah in Lebanon —it appears that Iran welcomes any move leading to the reduction of tensions in the Middle East. In particular, de-escalation in Lebanon and Gaza signals a reduced risk of renewed attacks on Iran itself.
 
Accordingly, at present, it does not appear that Iranian decision-makers oppose the current de-escalation from the peak of tensions reached earlier this year, which led to border incursions into Iran. As a result, regardless of the content of the Trump peace plan, the mere fact that it has reduced the fires of conflict is satisfying for Tehran.
 
The Necessity of a Balance of Power in the Middle East
 
The advancement of the current ceasefire in Gaza was made possible by the United States' more balanced approach in the region, in tandem with the cooperation of the Arab states and Turkey. This, in turn, prompted Iran to welcome the ceasefire. In contrast, the absence of such a balanced approach could return the Middle East to a state of heightened tension.
 
The more the U.S. can compel Israel to adhere to the ceasefire in Gaza and refrain from bombardments on its northern borders—and the more Arab states and other regional actors succeed in ensuring Palestinian groups' compliance—the more likely the Middle East will enjoy continued calm. According to this perspective, a peaceful resolution of Iran’s nuclear dossier is essential for maintaining a true balance of power in the region.
 
Without an agreement akin to the 2015 deal, the nuclear issue remains intractable. Given Iran's nuclear expertise and the capability to enrich uranium at other sites, the issue cannot be resolved simply through destruction and bombing, as witnessed in the recent twelve-day war. Therefore, the U.S. and the international community need a similar agreement with Iran. Such a settlement would not only reintegrate Iran into the international community but also considering the new regional dynamics post-October 7, would incentivize Tehran to promote calm and avoid new tensions in the Middle East.
 
In other words, an agreement with Iran can both reassure the international community about the nuclear issue and reduce the regional risks of new flare-ups. Otherwise, while the flames of war in the Middle East may appear extinguished in the short term, this may only be embers beneath the ashes—capable of reigniting at any moment.
 
Pouya Jabal Ameli Economist and former editor-in-chief of Donya-e-Eqtesad Daily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고재인 자본시장정책부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0/300

뉴스리듬

    이 시간 주요 뉴스

      함께 볼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