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리페이 올라탄 일본 간편결제…국내 규제 '사각지대'
2025-11-19 15:25:23 2025-11-19 15:58:16
[뉴스토마토 신수정 기자] 최근 중국과 일본 간 외교·안보 갈등이 심화하는 상황에서도 국내 간편결제 시장에서는 양국 기업이 한마음으로 협력하는 이례적인 장면이 연출되고 있습니다. 
 
일본의 대표적인 캐시리스(cashless) 간편결제 서비스 페이페이(PayPay)가 그간 전자금융업 규제를 우회적으로 접근했던 알리페이(Alipay), 위챗페이(WeChat Pay), 유니온페이(UnionPay) 등 중국계 간편결제망을 통해 간접적으로 한국 시장 진출에 나선 것인데요. 이들 페이는 국내에서 한국인을 상대로 영업을 하지 않는다는 이유만으로 규제를 회피하고 있어 형평성 논란이 일고 있습니다. 
 
페이페이, 알리페이 결제망 통해 한국 진출
 
19일 금융권에 따르면 일본 간편결제사 페이페이가 알리페이플러스(Alipay+) 결제망을 통해 지난 9월 말부터 한국 전역에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기 시작했습니다. 알리페이의 결제망을 이용해 국내 가맹점망을 확보하며 본격적으로 해외 결제 서비스를 개시한 것입니다. 
 
페이페이 이용 고객은 일본에서 본인 확인(eKYC)을 완료하면, 해외 도착 시 자동으로 ‘해외 결제 모드’를 활성화할 수 있습니다. 결제 방식은 매장 단말기를 스캔하는 스토어 스캔 방식(CPM)과 사용자가 QR 코드를 스캔해 금액을 입력하는 사용자 스캔 방식(MPM) 모두 지원합니다. 
 
이는 페이페이의 최초 해외 진출인데요. 페이페이는 일본 출국자 수가 가장 많은 국가라는 이유로 해외 결제 서비스 확대 전략의 요충지로 한국을 선택했습니다. 일본 관광객이 몰리는 만큼 간편결제 수요가 높기 때문입니다. 
 
(그래픽=뉴스토마토)
 
그러나 시장에서는 일본 페이페이의 진출 방식을 두고 중국의 3대 간편결제사(알리·위챗·유니온페이)가 파고든 규제 빈틈을 활용한 것이란 비판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전자금융거래법에 따르면 선불전자지급수단 발행업자는 국내에서 내국인을 대상으로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려면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에 전자지급결제대행업(PG) 또는 선불전자지급수단 발행업자 신고 및 인허가를 받아야 합니다. 
 
하지만 알리·위챗·유니온페이 등 중국계 간편결제사는 외국인 관광객을 대상으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는 논리를 앞세워 신고 의무를 피해갔습니다. 이들은 ‘한국인 고객을 상대하지 않으면 사업자 신고 의무가 없다’는 금융당국의 유권해석을 이유로 국내 전자금융업자로 신고하지 않고 국내 가맹점을 통해 수수료를 취득하고 QR 결제 인프라를 빠르게 확산시켜 시장 영향력을 키워 왔습니다. 
 
규제·비용 부담에 알리페이 파이프라인 부상
 
일반적으로 해외 결제 서비스가 다른 국가 시장으로 진출하려면 두 가지 방법을 거칩니다. 현지 금융당국에 법인 설립 인가를 받아 내국인 고객에게도 정식으로 서비스를 제공하거나, 현지 금융사나 전자지급결제대행업체(PG)와 개별 협력 체계를 구축해 간접적으로 대고객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식이 있습니다. 
 
그런데 두 방법 모두 상당한 시간과 비용이 투입됩니다. 이러한 점에서 중국계 간편결제사들의 한국 진출 방식은 금융 규제를 피하면서도 재원을 최소화하며 빠르게 한국 시장에 진입할 수 있는 최적화 방법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특히 한국에서 사업자 신고 의무를 지지 않아도 되는 알리페이플러스를 파이프라인으로 이용할 경우 이미 국내 가맹점에 구축된 중국계 결제 인프라를 그대로 이용할 수 있어 신속하게 영업을 확장할 수 있다는 점에서 매력적입니다.
 
업계에서는 이러한 진출 경로가 신규 해외 간편결제 사업자들의 꼼수로 악용될 수 있다고 지적하고 있습니다. 나아가 향후 동남아·대만·홍콩 등 해외 간편결제 서비스도 알리페이플러스를 통한 국내 확대 전략을 검토할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하는 시각이 제기됐습니다.
 
알리페이는 이미 아시아·유럽 등 40여곳 국가 1억명 이상에 해당하는 파트너사를 알리페이로 묶어 글로벌 결제 동맹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한국 시장의 높은 소비력과 결제 인프라 접근성의 결합으로 해외 간편결제의 무규제 영업 천국이 될 수 있다는 위기감도 더해지는 배경입니다.
 
금융권 관계자는 “중국계 간편결제가 대규모 국내 가맹점망을 확보해 사실상 준사업자 지위를 누리는 상황인데, 일본 페이페이처럼 중국계 간편결제망에 숟가락만 얻는 형식으로 진출하려는 해외 간편결제사들이 늘어날 수도 있다”고 우려했습니다.
 
다른 금융권 관계자는 “한국 기업들만 규제를 지키고, 해외 결제사는 예외를 누리는 기형적 구조가 더욱 고착화될 수도 있겠다”고 지적했습니다.
 
중국계 결제망을 우회로 삼은 일본 페이페이 사례가 등장하면서 해외 간편결제사 형평성 논란은 더욱 불붙고 있습니다. 업계는 향후 알리페이를 비롯한 글로벌 결제사들의 전략 변화가 국내 시장 경쟁 구도를 어떻게 재편할지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습니다.
 
(사진=페이페이)
 
신수정 기자 newcrystal@etomato.com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김의중 금융부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0/300

뉴스리듬

    이 시간 주요 뉴스

      함께 볼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