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G넥스원이 사상 처음으로 민간주도로 개발하게 될 정지궤도 위성 '천리안위성 5호' 형상. (사진=LIG넥스원)
[뉴스토마토 이석종 국방전문기자] 우리나라 세 번째 기상위성이자 첫 민간주관 정지궤도 위성인 ‘천리안위성 5호’ 개발사업이 본격 추진됩니다.
LIG넥스원(대표이사 신익현)은 “기상청, 우주항공청, 한국기상산업기술원과 ‘정지궤도 기상·우주기상 위성(천리안위성 5호) 개발 협약’을 체결했다”고 1일 밝혔습니다.
총 3207억 5400만원을 들여 오는 2031년까지 천리안위성 5호의 시스템과 본체를 개발한다는 게 LIG넥스원의 설명입니다.
천리안위성 5호는 2031년 발사돼 적도 상공 약 3만6000㎞ 고도에서 24시간 실시간으로 지상과 우주 기상을 관측하게 됩니다.
특히 이번사업은 민간기업이 개발을 주관하는 첫 정지궤도 위성개발 사업으로 K-우주시대 마중물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지난 2006년부터 고성능영상레이다(SAR)를 비롯한 기반기술 확보에 매진해온 LIG넥스원은 정지궤도공공복합통신위성(천리안위성 3호), 한국형위성항법시스템(KPS), 다목적실용위성 5·6호, 군위성통신체계(ANASIS-I·II) 및 초소형위성체계 사업에 참여하며 위성시스템 전 분야를 아우르는 핵심역량을 축적해 왔습니다. 자체 투자를 통해 대전하우스 위성 체계종합·시험동이 올해 상반기 중 완공되면, 미래 우주산업에 특화된 개발 인프라도 대폭 강화됩니다.
LIG넥스원 관계자는 “20년 가까이 축적해온 위성 탑재체, 본체, 지상체 개발경험을 기반으로 위성시스템 통합개발 역량을 한층 강화하는 것은 물론, 위성 활용 분야까지 사업영역 확장을 추진할 예정”이라며 “천리안위성 5호 시스템 및 본체 개발 사업의 총괄주관연구개발기관으로서 기상청, 우주항공청, 한국기상산업기술원, 항공우주연구원 및 협력회사와의 긴밀한 공조 아래, 세계 최고 수준의 고품질 기상 서비스의 기반이 될 고정밀 정지궤도 플랫폼의 위성개발을 완수하겠다”고 말했습니다.
이석종 국방전문기자 stone@etomato.com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최신형 정치정책부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