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남만큼 뜨거운 목동…연일 '신고가' 행진
양천구 집값 상승률 강남3구 다음…상급지 수요 지속
2025-05-26 16:28:30 2025-05-27 14:29:53
 
[뉴스토마토 홍연 기자] 재건축 기대감이 반영되면서 서울 양천구 목동신시가지 아파트에서 최근 신고가 잇따르고 있습니다. 이달 들어 거래량의 80%가 신고가 매매거래였습니다. 
 
26일 정비업계에 따르면 목동신시가지 아파트 14개 단지는 연내 정비계획 결정 및 정비구역 지정이 마무리될 전망입니다. 재건축에 탄력이 붙으면서 5월 매매거래량 35건 가운데 28건이 신고가 매매거래였습니다.
 
사업이 가시화하면서 신고가 거래가 잇따라 나오고 있는데요. 지난 23일 목동신시가지 아파트 3단지 95㎡는 25억5000만원에 신고가 거래됐습니다. 직전 거래보다 1억5000만원이 올랐습니다. 2단지 같은 평형은 지난 20일 26억원에 신고가 거래됐는데 이는 직전 거래인 열흘 전보다 1억4000만원이 오른 것입니다. 같은 단지 144㎡는 지난 16일 33억3000만원에 매매되며 전달 초보다 2억4000만원이 올랐습니다. 
 
실제로 양천구의 집값 상승률은 서울 25개 자치구 중에 강남3구(강남·서초·송파) 다음으로 높았는데요.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19일 조사 기준 양천구는 목·신정동 위주로 전주 대비 아파트값이 0.22% 올랐습니다. 서초구 0.32%, 송파구 0.3%, 강남구는 0.26%가 올랐습니다. 
 
다음 달 4일부터는 안전진단이 없어도 재건축이 가능한 이른바 '패스트트랙' 법안이 시행되면서 정비구역 지정이 이뤄지지 않은 단지 중에 조합방식으로 재건축을 추진하는 3, 4, 7 단지의 수혜가 기대됩니다. 정비사업 구역이 지정되기 전에 추진위를 설립할 수 있게 되면서 재건축 추진에 속도가 붙을 전망이죠. 목동신시가지 7단지는 오는 6월 추진위를 만들기 위해 소유자들의 동의를 받는 작업을 시작합니다. 이전에는 정비구역으로 지정된 곳만 토지 등 소유자 50% 동의를 받아야만 추진위를 설립할 수 있었습니다. 
 
(표=뉴스토마토)
서울 양천구 목동아파트 6단지의 모습. (사진=뉴시스)
 
5만 가구 미니신도시로 탈바꿈…강남보다 싸고 사업성 좋아 
 
14개 단지 가운데 가장 속도가 빠른 6단지는 지난 23일 가장 먼저 재건축 조합설립 인가를 획득했습니다. 조합 직접설립 제도를 통해 지난해 8월 정비구역으로 지정된 뒤 9개월여 만에 인가를 완료하며 기간을 대폭 줄였습니다. 
 
1986년 준공한 목동6단지는 용적률 299.87%를 적용 받아 최고 49층, 2173가구로 탈바꿈할 계획입니다. 해당 단지는 이대목동병원, 양정중·고와 붙어 있는데요. 어린이집·경로당·돌봄센터·작은도서관 등 주민공동시설과 연면적 7000㎡(약 2100평) 규모의 목6동 복합청사도 들어섭니다. 조합은 향후 시공사 선정과 건축·교통·환경영향평가 등 통합심의 절차를 거쳐 사업시행계획인가를 추진할 예정입니다. 
 
지난 22일엔 8·12·13·14단지에 이어 4·10단지도 정비 구역 지정 및 정비 계획 결정안이 통과됐는데요. 반경 1km 이내에 지하철 5호선 오목교역과 목동역이 있는 목동 4단지는 신속통합기획으로 정비구역 지정 및 정비계획이 마련됐습니다. 용적률 300% 이하, 최고 49층 규모로 공동주택 2436가구(공공주택 293가구 포함)와 부대 복리시설이 들어설 예정입니다. 목동10단지는 용적률 300% 이하를 적용받아 최고 40층, 4050가구 규모의 공동주택으로 재건축됩니다.
 
목동신시가지 아파트 재건축이 완료되면 5만 가구의 '미니신도시'급으로 탈바꿈할 예정인데요. 1~14단지 아파트는 1985년부터 1988년 사이 지어진 총 392개 동, 2만6629가구로 이뤄져 있습니다. 지역 주민들은 행정구역상 목동에 속하는 1~7단지는 ‘앞단지’, 신정동에 속하는 8~14단지는 ‘뒷단지’로 부릅니다. 서울 3대 학원가인 목동학원가는 앞단지와 뒷단지 상가에 분포해 있죠.
 
목동신시가지 아파트는 10여 년 전부터 재건축을 추진했지만 안전진단 규제와 조합원 간 사업 방식을 둘러싼 갈등으로 지지부진했습니다. 여기에 2021년 4월 목동 일대가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지정되며 실거주 요건 등으로 진입 장벽이 있었습니다. 주택 거래 시 지방자치단체장의 허가를 받아야 하고, 2년 이상 실거주 요건을 충족해야 매매가 가능합니다. 그러다가 재건축이 가시화하면서 시장의 불확실성이 감소하면서 매수세 유입이 늘어난 것으로 풀이됩니다. 
 
똘똘한 한 채 선호 현상으로 고가 아파트를 중심으로 한 상승세는 이어지고 있습니다. 또 오는 8월부터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3단계 규제가 시행되면서 대출 한도에 큰 영향을 받지 않고 현금 등 자기 자본을 활용한 거래가 많은 목동 같은 상급지에 수요가 지속되면서 매수세는 꾸준히 유입될 전망입니다.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강남보다는 가격이 눌려 있는 데다 사업성이 보장되는 곳이기 때문입니다.
 
홍연 기자 hongyeon1224@etomato.com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강영관 산업2부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0/300

뉴스리듬

    이 시간 주요 뉴스

      함께 볼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