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이규하 기자] 연간 1300만명이 찾는 제주도의 해양환경 보호 인식을 높이기 위한 '제주 특화형 해양환경교육' 협력 방안이 모색됩니다. 제주도는 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이자 해양보호구역을 보유하고 있는 청정 해양관광지인 반면, 기후 위기 최전선 지역으로서 해양환경 보호 인식도 요구되고 있기 때문입니다.
해양수산부와 해양환경공단은 22일 제주도 소재 공공기관, 민간기업 등 12개 기관, 제주도민과 함께 관광객의 해양환경 보호 인식을 높이기 위한 '제주 특화형 해양환경 교육'을 논의한다고 밝혔습니다.
논의 기관은 제주국제자유도시개발센터, 제주개발공사, 제주관광공사, 공무원연금공단, 한국공항공사, 한국수산자원공단, 롯데관광개발, 호텔신라, 제주은행, KT, KTCS, 제주관광협회 등입니다.
지난 18일 서귀포시 자구리공원 내 쉼터에서 더위를 식히는 쿨링포그가 가동되고 있다. (사진=뉴시스)
특히 올해는 공공기관까지 참석 대상을 넓히는 등 제주형 해양환경 이동교실, 폐교 부지 등 유휴 공간을 활용한 교육 체험 시설 운영 등 제주 특화형 해양환경 교육 협력 방안을 모색합니다.
제주도는 연간 1300만명이 찾는 대표적인 해양관광지로 꼽힙니다. 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과 해양보호구역도 6곳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유은원 해수부 해양환경정책과장은 "청정 해양 관광지로 해양환경 보전은 지역경제와 직결되는 중요한 과제"라며 "최근 제주도는 해수면 상승·태풍 피해 등 기후 위기의 최전선에 놓여 있어 그 어느 지역보다 해양환경에 대한 이해와 해양환경 보호에 대한 인식을 높이는 것이 중요하다"고 설명했습니다.
김성범 해수부 차관은 "이번 논의는 민간과 공공이 함께 해양환경 가치를 확산하고 지속 가능한 해양 보전을 위한 ESG(환경·사회·지배구조) 실천 기반을 넓히는 소중한 계기가 될 것"이라며 "지역 특성을 반영한 민·관·공 협력 모델이 제주에서 가시적인 성과를 거두어 전국으로 확산되길 기대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세종=이규하 기자 judi@etomato.com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최신형 정치정책부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