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이승재 기자] 삼성전자가 ‘갤럭시 워치8’ 시리즈의 센서 기술을 강화해 소비자들의 건강한 생활 습관 형성과 예방적 관리를 위한 방향을 새롭게 제시했습니다.
최종민 삼성전자 MX사업부 헬스 하드웨어 개발그룹장 상무가 7일 서울 중구 삼성전자 기자실에서 갤럭시 워치8 시리즈의 센서에 대한 미디어 브리핑을 진행하고 있다. (사진=삼성전자)
삼성전자 다바이스경험(DX)부문의 모바일경험(MX)사업부는 7일 서울 중구 삼성전자 기자실에서 브리핑을 열고 갤럭시 워치8의 주요 기능에 대해 “스마트워치의 가장 큰 장점은 늘 착용하고 있기에 내 건강 상태를 지속해 모니터링할 수 있다는 점”이라며 “일상을 함께하는 ‘컴패니언’(동반자)’ 디바이스라고 할 수 있다”고 소개했습니다.
삼성전자는 이번 워치 신제품에 수면과 심혈관 건강, 항산화 지수 등 건강 전반을 관리할 수 있는 기능을 다수 탑재하며 스마트워치의 헬스케어 기능을 한층 강화했습니다. 지난 2013년부터 웨어러블 센서와 알고리즘 개발을 시작한 삼성전자가 갤럭시 기기에 처음으로 이 기능을 탑재한 것입니다.
갤럭시 워치는 센서를 통해 수집된 데이터를 분석해 사용자에게 건강한 습관을 형성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또 신체의 위험 신호를 조기 발견해 예방할 수 있도록 합니다.
삼성전자의 센서 기술은 파트너와의 협력을 통해 더욱 발전하고 있습니다, 특히 생체전기 임피던스 분석센서(BIA)는 일론 머스크의 우주기업 스페이스X 비행사들의 건강을 모니터링하는 데 사용되기도 했습니다.
갤럭시 워치8의 취침 시간 가이드 기능은 ‘투 프로세스(Two-Process)’ 수면 모델이라는 과학적 원리를 활용해 사용자가 3일간 워치를 착용하고 수면을 기록하면 생체 리듬과 수면 욕구(피로도) 분석을 기반으로 최적의 취침 시간을 계산해 건강한 수면 습관을 형성하도록 지원합니다. 삼성전자는 카이스트 연구팀과 알고리즘을 공동 개발하고 삼성서울병원에서 임상 검증을 거쳤습니다.
아울러 세계 최초로 스마트 워치에서 선보인 항산화 지수 측정 기능은 업그레이드된 바이오액티브 센서로 5초 만에 체내 항산화 성분인 ‘카로티노이드’ 수준을 부족 혹은 적정 수준으로 표시해줄 수 있습니다. 피부 카로티노이드는 채소 과일 섭취 지표로 암이나 각종 만성 질환 예방에 참고할 수 있습니다.
또 갤럭시 워치8는 혈액의 양과 혈관 경직도를 측정하고 혈관에 가해지는 스트레스 변화를 정밀하게 분석해 각 개인의 초기 상태 대비 증가 혹은 감소에 대한 변화 정보도 제공합니다. 심전도(ECG) 모니터링 기능도 향상됐습니다. 이소성 박동은 정기 검진에서도 발견하기 어려운 불규칙한 심장 박동입니다. 빈도가 높을 경우 심방세동으로 이어져 뇌졸중과 심부전 위험을 높일 수 있는데, 갤럭시 워치8 시리즈가 고도화된 알고리즘을 통해 이소성 박동의 빈도까지 계산할 수 있게 됐습니다.
삼성전자는 파트너와의 협력과 임상 검증을 통해 헬스케어 생태계를 조성하고 있습니다. 최종민 삼성전자 MX사업부 헬스 하드웨어 개발그룹 상무는 “고도화된 워치 센서 기술을 통해 사용자들이 건강한 습관을 형성하고, 이상 징후를 조기에 감지해 예방할 수 있도록 돕고자 한다”며 “앞으로도 헬스케어의 미래를 선도하며 더 나은 건강관리 경험을 제공할 것"이라고 했습니다.
이승재 기자 tmdwo3285@etomato.com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오승훈 산업1부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