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원 무시…트럼프 몽니에 '미 중산층' 붕괴
법원은 위법 판결, 트럼프는 관세 고수… 미 경제 심리 '추락'
"저소득층·중산층, 더 이상 여유 자금 없어"…국민들만 아우성
2025-09-01 14:37:44 2025-09-01 15:29:19
[뉴욕=뉴스토마토 김하늬 통신원] 이른바 '트럼프발 관세정책의 부작용'이 미국 내 저소득층을 넘어 중산층까지 번지고 있습니다. 최근 미국 중산층을 중심으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정책에 대한 비판적 시각이 늘고 있습니다. 하지만 트럼프 대통령은 상호관세가 위법이라는 판결이 잇달아 나오고 자국민들이 관세로 인해 물가 고통을 겪고 있지만 아랑곳하지 않는 모습입니다. 되레 '관세가 없었으면 미국은 완전히 파괴됐을 것'이라며 관세정책의 정당성만 강조하고 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31일(현지시간) ‘트루스소셜’에 “관세, 그리고 우리가 이미 거둬들인 수조 달러가 없었다면, 미국은 완전히 파괴되고 군사력도 즉시 소멸됐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사진=AP 연합뉴스)
 
잇따른 법원 판결에도 관세 고수…관세 정당성만 강조
 
트럼프 대통령은 31일(현지시간) 자신이 설립한 소셜미디어 플랫폼 '트루스소셜'에 "관세, 그리고 우리가 이미 거둬들인 수조 달러가 없었다면, 미국은 완전히 파괴되고 군사력도 즉시 소멸됐을 것"이라고 주장했습니다. 
 
같은 날 제이미슨 그리어 미국 무역대표부(USTR) 대표는 <폭스뉴스> 인터뷰에서 "우리의 무역 파트너들은 무역협상과 관련해 계속해서 매우 긴밀하게 협의 중"이라며 "사람들은 중간에 법원이 뭐라고 판단하든지 상관없이 각자의 협상을 계속 추진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이는 연방 항소법원이 지난 29일 트럼프 대통령이 상호관세 근거로 제시한 국제비상경제권한법(IEEPA)이 관세 부과 권한을 포함하지 않는다고 판결한 데 대한 반박입니다. 
 
이번 항소법원 판결은 지난 5월 미국 국제무역법원(CIT)이 '위법' 결정을 내린 지 3개월 만에 나온 것입니다. 당시 CIT는 "관세 결정 권한은 대통령이 아닌 의회에 있다"고 판시했으며, 항소법원 역시 이를 재확인했습니다. 다만 혼란을 피하고 대법원 상고 절차를 고려해 오는 10월14일까지는 현행 관세를 유지하기로 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즉각 상고 의사를 밝히며 재판부를 "정치 편향적"이라고 비판한 뒤, "관세가 사라지면 국가적 재앙이 닥칠 것"이라고 경고했습니다. 
 
(그래픽=뉴스토마토)
 
소비심리, 8월 들어 급격히 악화…닫힌 '중산층 지갑'
 
그러나 국민들이 체감하는 경기는 빠르게 악화하고 있습니다. 관세로 인한 물가 압박 속에 저소득층뿐 아니라 중산층까지 소비 심리가 위축되는 모습이 뚜렷합니다. 미시간대 조사에 따르면 소비자심리지수는 7월 대비 5.7% 하락한 58.2를 기록했습니다. 
 
이 지수는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정책 불확실성 여파로 올해 초 하락 흐름을 지속하다가, 5월 보합에 머문 뒤 6∼7월 무역 협상 진전과 증시 랠리에 힘입어 반등한 바 있습니다. 하지만 관세 부과가 인플레이션 압력으로 이어질 것이란 전망 속에 소비자 심리가 다시 하락했습니다. 경제 조사 단체인 '콘퍼런스보드'의 설문조사 역시 소비자신뢰지수가 8월에 전월 대비 1.3포인트 하락했습니다. 
 
<월스트리트저널>은 이러한 흐름을 두고 "중산층 가정의 미래에 대한 비관적 견해가 급증했다"고 분석했습니다. 모닝컨설트의 존 리어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중산층 소비자들이 잠시 긍정적인 흐름을 따르는 듯 보였으나, 이제 상황은 절벽에서 떨어졌다"고 평가했습니다. 실제로 최근 기업들의 실적 발표에서도 중산층의 심리 악화가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습니다. 
 
(그래픽=뉴스토마토)
 
월마트는 중산층과 저소득층 고객들이 지출을 줄이며 장바구니에서 불필요한 품목을 덜어내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더그 맥밀런 월마트 CEO는 "관세로 인해 매주 비용이 오르고 있다"며 "이 흐름이 3분기와 4분기에도 이어질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프록터앤드갬블(P&G)은 미국 판매 제품 중 약 25%의 가격을 인상하겠다고 밝혔고, 홈디포 역시 일부 품목의 가격을 올렸습니다. 타깃은 2분기 이익 급감으로 인해 가격 인상이 불가피한 상황에 놓였습니다. 기업들이 단기적으로는 비용 상승을 흡수하겠지만 결국 가격을 올려 소비자에게 부담을 전가할 수밖에 없는 겁니다. 
 
라피엘 보스틱 애틀랜타 연방준비은행 총재는 "저소득층과 중산층은 더 이상 여유 자금이 없다"고 지적했습니다. 이제 미국 소비자는 2022년 인플레이션이 급등했을 때보다 지출을 줄이고 있다는 겁니다. 미시간대 조사에서도 응답자의 70% 이상이 향후 1년간 가격 상승에 대비해 가계 지출을 줄일 계획이라고 답했습니다. 
 
뉴욕=김하늬 통신원 hani4879@etomato.com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최신형 정치정책부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0/300

뉴스리듬

    이 시간 주요 뉴스

      함께 볼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