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신상민 기자] 오는 10월부터 카카오톡에서 오픈AI의 챗GPT를 직접 사용할 수 있게 됩니다.
카카오는 23일 용인시 카카오 AI 캠퍼스에서 카카오 연례 최대 행사인 'IF 카카오 25'를 열었습니다. '가능성, 일상이 되다'라는 슬로건 아래 진행된 이번 컨퍼런스에선 카카오톡 개편, 카카오톡의 AI 서비스 결합 등 향후 15년을 바라보는 카카오의 사업 전략이 전격 공개됐습니다.
카카오의 AI 전략은 △'카나나 인 카카오톡' △카나나 검색 △챗GPT 결합으로 구분됩니다. 특히 정신아 카카오 대표는 "앞으로의 15년을 준비하는 시작점이 카카오톡의 개편"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우선 카카오톡에 자체 AI 기술이자 서비스 '카나나'를 접목해 이용자들이 더 편리해진 일상을 체감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 대화요약, 통화녹음, 숏폼 생성 등 기능을 비롯해 기존 샵(#) 검색을 대체할 카나나 검색, 보안성을 극대화한 온디바이스 기반 AI 서비스를 순차적으로 선보인다는 계획입니다.
정 대표는 "5000만 사용자 모두를 위해 일상에 스며들고 알아서 챙겨주고 모두와 함께하며 해결하고 실행해주는 AI로 사용자의 사용자의 니즈를 충족시키며 한 번 경험하면 없어서는 안 될 존재로 발전할 것"이라고 자신했습니다.
개인정보 보안 문제도 염두에 뒀습니다. 모든 과정이 온디바이스로 작동해 프라이버시를 보장합니다. 카나나 나노 1.3B를 이용해 인터넷 없이도 스마트폰 안에서 AI 기술을 사용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
정 대표는 "AI 모델은 자체 기술로 내재화 해 AI를 사용한 대화, 통화가 별도로 저장, 학습되지 않는다"며 "온디바이스 환경에서 서버에 저장되지 않고 바로 자체 디바이스 안에서 삭제돼 보안을 철저히 했다"고 밝혔습니다.
가장 관심을 끌었던 챗GPT와 공동 프로덕트는 10월 출시됩니다. 별도 앱 설치 없이도 카카오톡 채팅탭에서 바로 챗GPT를 사용할 수 있게 됩니다. 챗GPT와 카카오톡 사이에서 대화 내용을 주고 받을 뿐 아니라 카카오맵, 선물하기, 멜론 등 다양한 서비스와 연결되는 '카카오 에이전트'를 통해 차별화된 사용성을 제공합니다.
챗GPT를 활용해 대화할 경우 오픈AI로 학습데이터가 넘어갈 수 있다는 우려에 대해선 "챗GPT로 전달되지 않는다"고 못 박았습니다.
카카오톡 사용자 인터페이스(UI)도 출시 15년 만에 크게 변화합니다. 개편의 3가지 키워드는 채팅, 지금, 친구입니다.
'채팅탭'에선 폴더 기능을 새롭게 도입해 채팅방을 카테고리별로 분류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 지난 8월 메시지 삭제 기능 개선에 이어 메시지 수정 기능도 선보입니다.
새롭게 선보이는 '지금탭'은 숏폼과 오픈채팅을 아울러 사용할 수 있습니다. '친구탭'은 강화된 프라이버시 기능을 바탕으로 사용자가 직접 프로필 내 게시물의 공개 범위, 댓글 허용 여부 등을 설정할 수 있게 했습니다.
홍민택 카카오 CPO는 "모든 변화는 쾌적한 대화 경험으로 전 국민의 일상을 더 편리하게 만들기 위한 여정"이라며 "사용자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이며 모든 가능성의 시작인 카카오톡을 끊임없이 진화시킬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
정신아 카카오 대표가 23일 용인시 카카오 AI 캠퍼스에서 열린 'IF 카카오 25'에서 카카오톡의 개편 방향과 AI 전략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사진=카카오)
신상민 기자 lmez0810@etomato.com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김나볏 테크지식산업부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