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조 넘는 임금체불…HR업계, 구직자 보호 전방위 확대
잡코리아, 대규모 LLM 탐지 고도화
사람인, 체불 기업 전면 차단…RPA 자동화 시스템 가동
2025-09-23 15:43:15 2025-09-23 17:19:07
[뉴스토마토 신대성 기자] 임금체불액이 2조원을 넘어선 가운데 인적자원(HR)업계가 체불 기업에 대한 제재를 강화하고 나섰습니다. 사업주 명단 공개, 공고 차단, 인공지능(AI) 기반 모니터링 등 다층적 장치를 마련했습니다. 
 
고용노동부에 따르면 지난해 임금체불 피해자는 28만3000명, 체불액은 2조448억원에 달하며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이에 따라 잡코리아, 사람인, 인크루트 등 업계 주요 플랫폼들이 임금체불 기업에 대한 제한과 차단을 강화하면서 구직자 보호에 나섰습니다. 
 
잡코리아는 지난 2023년 2월부터 임금체불 기업의 채용공고 등록을 제한해왔습니다. 최근에는 정부 정책 방향에 맞춰 공지 보강과 공고 검증 체계 고도화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잡코리아와 알바몬은 사업자등록증이 아닌 '사업자등록 증명원' 제출을 의무화하고, 신규 회원사의 첫 공고는 반드시 승인을 거쳐야 노출되도록 운영 중입니다. 불법 키워드 차단, 전 공고 '신고하기' 버튼 배치, 24시간 모니터링 시스템 등 다층적 장치를 마련했습니다. 머신러닝 기반 자동 심사 시스템과 거대언어모델(LLM)을 활용한 불량 공고 탐지 고도화도 준비하고 있습니다. 
 
사람인(143240)은 고용노동부가 공개하는 임금체불 사업주 명단을 플랫폼에 게재하고 이들의 모든 서비스 이용을 차단하고 있습니다. △기존 공고 비노출 △신규 공고 등록 금지 △인재풀 서비스 이용 제한 △이력서 접근 불가 △공고 상품 구매 불가 △신규 회원 가입 제한 등 제재가 적용됩니다. 이를 위해 사람인은 고용노동부의 임금체불 사업주 명단을 자동화한 RPA(Robotic Process Automation) 시스템을 도입, 명단 내 기업들의 서비스 이용을 자동으로 인지·제한하고 있습니다. 더불어 최저임금법 준수 여부를 사전 점검해 영세 사업주의 법규 위반을 예방하는 서비스도 제공합니다. 이 밖에도 AI 기반 자동화와 전담 인력이 참여하는 24시간 공고 모니터링 체제를 가동하고 있습니다.
 
인크루트도 임금체불 기업 명단 제공과 함께 제재를 강화했습니다. 지난 16일부터 올해 1월 고용노동부가 발표한 '2025 1차 임금체불 사업주 명단'을 홈페이지와 앱 공지 사항을 통해 공개하고 있습니다. 명단에 포함된 기업에 대해서는 공고 자동 마감, 신규 등록 금지, 인재 검색 서비스 이용 제한을 적용하고 있습니다. 지난해 명단 공개에 이어 올해도 동일한 조치를 이어가며 구직자 피해 예방에 나서고 있습니다. 
 
원티드랩(376980)도 임금체불 사업주 명단을 구직자들이 확인할 수 있도록 공지로 안내하고 있습니다. 임금체불 기업의 서비스 제한 조치는 내부 논의 중인 단계입니다. 
 
업계는 이제 단순 채용 매칭을 넘어 구직자 보호를 최우선 가치로 내세우고 있습니다. 사람인 관계자는 "플랫폼으로서 정보 제공과 연결을 넘어 기업과 구직자가 서로 신뢰할 수 있는 '안심 채용' 문화를 정착시키겠다"며 "앞으로도 제도 개선과 기술 투자를 아끼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최근 HR업계가 임금체불 기업에 대한 제재를 강화하고 나섰다. (이미지=사람인, 인크루트)
  
신대성 기자 ston9477@etomato.com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김나볏 테크지식산업부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0/300

뉴스리듬

    이 시간 주요 뉴스

      함께 볼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