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이지은 기자] 인공지능(AI) 관련 추가경정예산 1조9000억원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했습니다. 정부안 대비 600억원 규모 증액이 이뤄졌습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AI컴퓨팅 인프라의 확충과 차세대 AI모델 개발, 인재양성을 위한 핵심 과제를 집중 투자할 방침입니다. 이번 추경을 계기로 국가 AI 경쟁력을 강화하도록 핵심 과제를 신속하게 추진한다는 계획입니다.
과기정통부는 1일 국회 본회의에서 정부안 대비 618억원 증액한 1조9067억원 규모 AI 추경안이 의결됐다고 밝혔습니다.
이번 추경안을 바탕으로 클러스터링 기반 첨단 그래픽처리장치(GPU) 1만장을 연내 확보할 계획입니다. 조속한 AI컴퓨팅 인프라 확충을 위해 1조6341억원의 예산을 신규로 투자해 클러스터링 기반의 첨단 GPU 1만장 분을 연내 확보하고, 민간이 보유한 첨단 GPU 3000장 분량을 임차해 국가적으로 시급히 필요한 AI 컴퓨팅 자원 확보에 나섭니다.
과기정통부 세종 청사. (사진=뉴스토마토)
국산 AI반도체의 조기 상용화를 위해 실증 사업도 확대합니다. 올해 실증예산을 417억원에서 871억원으로 증액합니다. 국내 유망한 AI반도체 기업들이 골든 타임 내에 신경망처리장치(NPU) 상용화를 달성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합니다. 과기정통부는 NPU실증 인프라 외에도, 온디바이스 AI, 해외실증 등 신시장 개척을 위한 지원도 강화할 예정입니다.
글로벌 최고수준의 AI모델 개발을 위해 월드 베스트 거대언어모델(LLM) 프로젝트(가칭)를 추진합니다. 2136억원 규모의 예산을 통해 국내 5개 정예팀을 선정하고, 최대 3년동안 GPU, 데이터, 인재 등 필요한 자원을 집중 지원할 계획입니다. AI 파운데이션 모델 개발에 필요한 GPU는 민간이 보유한 첨단 GPU 임차를 통해 우선 지원하고, 각 팀의 AI 개발 목표 달성에 필요한 데이터 구축·가공·활용 비용을 지원합니다. 해외 최고급 AI 연구자의 국내 유치를 위해 최대 연 20억원을 지원하는 AI 패스파인더(Pathfinder) 프로젝트를 추진합니다. 유치된 인재는 WBL 프로젝트 팀에 우선 지원할 예정입니다.
인재양성 확보에도 나섭니다. 약 150억원 규모의 예산을 투입해 혁신 AI 인재들이 겨루는 글로벌 AI챌린지를 개최합니다. AI와 과학기술 융합분야 글로벌 핵심인재 양성하기 위해 국내외 박사후연구원 400명에 최고 수준의 처우, 집단·융합연구 등도 집중 지원합니다.
AI의 산업적 활용 촉진을 위한 지원에도 나섭니다. AI스타트업 성장을 위한 지원을 확대해 AI혁신펀드의 정부 예산을 1000억원 규모로 증액하는 한편, 100억원의 예산을 추가해 연구개발특구 내 AI분야 우수한 연구소기업의 AI기술사업화와 AI전환(AX)을 도모합니다. AI·디지털 취약계층을 위해 배리어프리 키오스크 기술과 보급 지원에 92억원을 신규 지원합니다.
유상임 과기정통부 장관은 "AI 주도권을 둘러싼 글로벌 결정 속에서 시급한 예산이 확보됐다"며 "그 어느때 보다 절박한 심정으로 골든 타임을 놓치지 않도록 전방위적인 노력을 기울이겠다"고 말했습니다.
이지은 기자 jieunee@etomato.com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김나볏 테크지식산업부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