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시내 한 공사 현장. (사진=뉴스토마토)
[뉴스토마토 송정은 기자] 정부가 지난 15일 '노동안전 종합대책'을 발표하며 발주처의 산업재해 예방 책임도 강조한 가운데 공공기관이 발주자인 관급공사에서도 사망사고가 다수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16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문진석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국토안전관리원으로부터 제출받은 건설공사안전관리종합망(CSI) 자료에 따르면 2021년부터 작년까지 최근 4년 동안 사망사고 발생 상위 10개 발주청의 공사 현장에서 총 90건의 건설 사망사고로 92명이 숨진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사망사고 다발 10개 발주청은 △한국토지주택공사(LH, 18건) △한국도로공사(11건) △한국농어촌공사·국방시설본부·서울시(각 9건) △국가철도공단(8건) △인천시(6건) △한국수자원공사·경기도교육청·부산지방국토관리청·부산지방국토관리청·대전지방국토관리청(각 5건) 순이었습니다.
연도별로는 △2021년 27건 △2022년 21건 △2023년 23건 △2024년 19건의 사망사고가 발생했습니다.
공사 구역이 넓고 규모가 큰 경우가 많은 LH가 2022년을 제외하고 연도별 사망사고가 가장 많았습니다.
문진석 의원은 "발주자의 책임이 나날이 강조되고 있는 만큼 발주청 역시 책임 의식을 갖고 철저한 공사 관리에 임해야 한다"며 "특히 LH, 한국도로공사 등은 상습적으로 사망사고가 발생하고 있어 공사 기간과 비용이 적정했는지 등을 전반적으로 점검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습니다.
송정은 기자 johnnysong@etomato.com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강영관 산업2부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