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이진하 기자] 우리 군의 정찰위성 5호기가 성공적으로 발사돼 우주궤도 진입 후 지상과 첫 교신에 성공했습니다. 목표한 정찰위성 다섯 기가 모두 궤도에 오르면서 우리 군은 더 촘촘하게 대북 감시 체계를 갖출 수 있게 됐습니다.
군 정찰위성 5호기가 2일(현지 시간) 미국 플로리다주 케이프 커내버럴(Cape Canaveral) 우주군 기지에서 성공적으로 발사됐다. (사진=뉴시스)
위성은 2일(현지시간 오전 1시 9분) 미국 플로리다주 케이프 커내버럴 우주군 기지에서 발사됐습니다. 발사 14분 만에 발사체와 성공적으로 분리돼 목표 궤도에 정상 진입했는데요. 발사 한 시간 뒤에는 지상국과 첫 교신에 성공했습니다.
이번 위성 5호기는 앞서 발사된 1~4호기와 마찬가지로 미국 스페이스X의 재사용 로켓 '팰컨9'에 탑재됐습니다. 우리 군의 독자적 감시와 정찰 능력 강화를 위한 위성 획득 사업인 '425 사업'의 마지막 위성인데요. '425'는 사업 명칭으로 5개 위성 중 4개의 합성개구레이더(SAR) 위성의 영어 발음 '사'와 1개의 전자광학(EO)·적외선(IR) 위성의 영어 발음 '이오'를 합친 것입니다.
정찰위성 5기가 우주에 오르면서 북한의 도발 징후를 포착하는 '대북 감시망'이 더욱 정밀해졌다고 볼 수 있습니다. 국방부는 5호기 성공 발사를 알리며 "이로써 정상 운용 중인 1~4호기와 함께 군집운용을 통해 24시간 전천후로 한반도 전역을 감시 정찰할 수 있는 독자적 능력을 구축하게 된다"고 설명했습니다.
5호기는 앞서 발사된 2~4호기와 동일하게 기상 조건과 관계없이 주·야간 촬영이 가능한데요. 가로·세로 30㎝를 한 점으로 인식하는 높은 해상도로 군사용 장비와 병력 이동을 감시할 수 있게 됩니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동향도 일정 부분 추적할 수 있습니다.
국방부는 "초소형 위성체계 적기 추진, 우주작전 수행능력 확보를 위한 발사장, 발사체 확보를 통해 국방우주력을 지속 발전시켜 자주국방의 토대를 더 굳건히 다녀나갈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방위사업청은 425사업과 별도로 2022년부터 초소형 위성 40여기를 개발·발사하는 사업도 진행하고 있습니다. 내년 하반기 초소형 SAR 검증 위성이 우주에 발사될 예정으로, 2030년까지 발사가 이어질 전망입니다.
이진하 기자 jh311@etomato.com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최신형 정치정책부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