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대 실적 낸 네이버, 노란봉투법에 '제동' 우려
손자회사 노조, 임금·복지 차별 해소 집회…본사와 격차 문제 제기
노란봉투법 통과로 교섭 범위 확대
네이버·카카오 등 IT 대기업도 영향권
R&D 투자 위축·스타트업 생태계 위축 우려도
2025-09-01 14:49:13 2025-09-01 17:36:41
[뉴스토마토 신상민 기자] '노란봉투법(노동조합법 개정안)'이 네이버의 성장세에 제동을 걸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네이버 산하 계열사·손자회사의 직접 교섭 요구에 직면해 비용 부담이 커질 수 있다는 겁니다. 
 
네이버는 올해 상반기 연결 기준 매출 5조7018억원, 영업이익 1조306억원을 기록하며 사상 최대 실적을 달성했습니다. 서치플랫폼과 커머스, 핀테크, 콘텐츠, 클라우드 등 전 사업 부문에서 고른 성장을 보였습니다. 또한 초거대 인공지능(AI) ‘하이퍼클로바X’를 중심으로 서비스 혁신을 가속화하면서 국내외 시장에서 입지를 확고히 하고 있습니다. 
 
지난 24일 국회 본회의를 통과한 노란봉투법은 사용자 범위를 '실질적으로 노동조건을 지배·결정할 수 있는 자'로 확대해 정의합니다. 이를 근거로 원·하청 구조뿐 아니라 자회사·손자회사의 노동자도 모기업에 교섭을 요구할 수 있는 법적 근거가 마련됐습니다. 
 
노란봉투법 통과 이후 지난달 27일 네이버 산하 6개 손자회사 노동조합은 성남 본사 앞에서 집회를 열고 임금, 복지 차별 해소를 촉구했습니다. 그린웹서비스, 스튜디오리코, 엔아이티서비스, 엔테크서비스, 인컴즈, 컴파트너스 등이 해당합니다. 이들은 네이버의 인프라 관리, 고객센터 운영, 콘텐츠 제작, 디자인·사용자 환경 등 서비스가 원활히 제공되는 부분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이들은 본사 대비 낮은 처우를 받아왔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업계에서는 이번 법 통과가 네이버뿐 아니라 카카오 등 대형 IT 기업 전반으로 확산될 가능성이 크다고 보고 있습니다. IT 대기업들은 계열사와 손자회사를 통해 서비스 운영의 핵심 인프라를 담당하지만 본사와의 임금·복지 격차가 꾸준히 문제로 지적돼왔습니다. 법 시행 이후 계열사 노동자들의 직접 교섭 요구가 잇따를 경우 인건비 및 운영비 부담이 불가피할 전망입니다. 특히 인건비 부담은 장기적으로 투자 여력을 제약할 수 있습니다. 
 
전성민 가천대 경영학부 교수는 "네이버의 경우 인건비 관련된 인상 요구가 계속 나온다면 고정 비용이 올라갈 가능성이 커지고 영업이익률이 상대적으로 떨어지게 된다"며 "그렇게 되면 미래 기술에 대한 투자에도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습니다. 
 
플랫폼 기업 특성상 관련 스타트업 기업에도 영향이 갈 것이라고 짚었는데요. 전 교수는 "플랫폼 기업 특성상 이용자의 요구에 따라 실험을 하고 이후 성공하게 되면 집중 투자를 하는 방식인데 (기업 입장에서) R&D를 진행하기도 조심스러워진다"며 "R&D가 조심스러워지면 스타트업을 하기에도 안 좋아진다. 실험이 많이 일어나야 스타트업이 끼어들 여지가 많아지는데 기회가 줄어들 수밖에 없다"고 전망했습니다. 
 
네이버 사옥. (사진=뉴시스)
 
신상민 기자 lmez0810@etomato.com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김나볏 테크지식산업부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0/300

뉴스리듬

    이 시간 주요 뉴스

      함께 볼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