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따이문명과 라오인 이야기)⑩몽족 장군 왕빠오와 비밀전쟁
프랑스군 입대부터 CIA와의 동맹까지, 왕빠오가 영웅이 된 과정
미국 비밀전쟁 그림자, 몽족을 용병으로 만든 식량과 생존 논리
롱쩽의 마지막 비행과 몽족 디아스포라, 끝나지 않은 전쟁 후유증
2025-05-20 06:00:00 2025-05-20 06:00:00
동남아시아인도차이나 반도일반적으로 태국과 베트남을 떠올리게 합니다온화한 기후 탓에 전 세계 최고의 휴양 국가이자 관광 국가로 알려진 곳입니다하지만 이들과 맞닿아 있는 인도차이나 반도 유일의 내륙 국가 라오스’. 낯선 만큼 모든 것이 어색하지만 그 속살을 살펴보면 의외로 우리와 많은 부분이 통할 수 있을 것 같은 친숙한 곳이기도 합니다뉴스토마토 K-정책금융연구소의 글로벌 프로젝트 은사마가 주목하는 해외 거점 국가 라오스의 모든 것을 소개합니다. (편집자)
 
1. 왕빠오 프랑스군에 입대하다
 
왕빠오는 1929년 프랑스령 인도차이나 라오스 씨양쿠왕주 농헷군에서 농부의 아들로 태어났다. 농헷군은 베트남과 멀지 않다. 왕빠오는 10세에서 15세까지 학교를 다닌 후 프랑스군에 입대하기 위해 시험을 치렀다. 감독관이던 프랑스인 대위는 왕빠오가 프랑스어를 읽고 쓸 수 없다는 걸 알고 답안을 불러주고 받아 적도록 했다. 부정을 통해 프랑스군에 입대했지만 왕빠오는 이 사실을 숨기지도 부끄럽게 여기지도 않았다
 
왕빠오의 이런 솔직하고 대범한 성품은 지지자들에게 그의 신화를 돋보이게 만들 뿐이었다. 세계대전 이후 프랑스 혼합 특공대 당국은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 당시 베트남 공산주의 세력과 싸우기 위해 왕빠오를 중위로 영입했다
 
씨양쿠왕의 돌항아리 평원. 비밀전쟁의 최대 격전지. (사진=우희철 작가)
 
2. 도미노이론과 미국의 라오스 개입
 
하나의 국가가 공산주의 세력에게 넘어가면 이웃 나라들도 연쇄적으로 공산화된다는 아이젠하워 미국 대통령의 도미노이론이 동남아시아 정책 핵심으로 자리를 잡게 됐다. 미국은 1955년부터 라오스 내전에 깊숙이 개입했다. CIA가 미국작전임무단을 설치해 국제 원조를 수단으로 라오스 내정을 통제하기 시작했다
 
1957년 미국은 라오스 왕국군과 베트남 공산당과 동맹관계에 있는 빠텟라오군 사이에 평화적 해결이 불가능하단 결론을 내렸다. 1959년 미국 특수부대는 에라완이란 암호명으로 12개 이동 훈련팀을 구성해 라오스왕국군에게 비정규전 훈련을 시켰다
 
3. 에어 아메리카
 
세계 경찰인 미국의 최대 강점은 압도적 생산력을 이용한 보급에 있었다. CIA는 라오스 비밀전쟁 지원을 위해 민간항공 수송 ‘CAT’를 인수해 에어 아메리카로 이름을 바꿨다. 에어 아메리카는 24대 쌍발 수송기, 24대 단거리 이착륙 항공기, 30대의 헬리콥터를 보유했고 라오스와 태국에서 300명 이상 조종사 부조종사 항공 정비사 및 항공 화물 전문가를 고용했다
 
197463일 마지막 에어 아메리카 항공기가 라오스에서 태국으로 국경을 넘을 때까지 식량 총알 무기뿐만 아니라 몽족 마을에서 재배한 아편 자루까지 수송했다
 
폭탄이 떨어진 분화구. 돌항아리 평원. (사진=우희철 작가)
 
4. CIA와 왕빠오
 
왕국군 육군 대령 시절에 왕빠오는 라오스 깊숙한 산골까지 24시간 식량과 군수품을 공급할 수 있는 미군 역량과 활약에 완전히 매료됐다. 그는 CIA와 미군 능력이라면 몽족의 독립 국가를 건설할 수 있다는 믿음을 갖게 됐다. 왕빠오를 지도자로 따르는 몽족 부락민들은 그를 하늘이 보내준 인물로 추앙하게 됐다
 
CIA가 왕빠오에게 전달한 첫 군수품은 소총 1000자루였고, 1962년까지 9000명의 몽족 병사를 비밀전쟁에 합류시켰다. 미국은 왕빠오와 몽족 병사들에게 세 가지 임무를 부여했다. 첫째 라오스 북동부에서 격추된 미군 조종사를 구조하는 것, 둘째 북베트남 폭격을 위해 CIA가 건설한 일급 비밀 공군기지 사이트 방어, 셋째는 전략적 목표로 남베트남에서 벌어지는 전투를 줄이기 위해 북베트남군을 라오스로 유인하는 것. 1969년에는 약 3만5000명 몽족 병사가 북베트남 2개 사단과 맞서 싸웠다
 
5. 몽족이 미국 비밀전쟁에 대거 참가한 원인
 
왕빠오가 조직한 몽족과 미엔족은 CIA에게 용병으로서 매력적인 대상이었다. 몽족은 라오스와 베트남 경계인 안남산맥 지형에 익숙할 뿐만 아니라 산악에 익숙해 군사훈련을 받으면 베트남 대항 게릴라로 활동하는 게 용이했다. ‘야오족이 없는 산이 없다는 중국의 속담이 있을 정도로 미엔족도 산에 익숙하다
 
몽족 거주지는 북베트남에서 남으로 내려가는 호치민 트레일 길목에 많이 있었고 최대 격전지가 되는 돌항아리 평원이 있는 씨양쿠왕주에만 몽족이 5만명 이상 살고 있었다. 몽족이 대규모로 미국 용병이 된 결정적 요인은 전쟁 장기화로 토지가 황폐화되고, 농사를 지을 수 없어 발생한 식량난이다. 몽족이 개별적으로 전쟁을 피해 저지대로 내려가도 외세를 끌어들였다는 라오족 적대감을 감당할 수도 없었다. 왕빠오와 CIA는 병사를 보내지 않는 마을과 가족들에게 식량 공급과 지원을 통제했다. 식량의 결핍은 당장 생존 문제라서 몽족 가족들은 자식들을 전쟁터로 보내지 않을 수 없었다
 
-카빈병
라오스 인민혁명당과 베트남 공산당 연합군을 상대로 왕빠오 게릴라군이 치열하게 맞붙어 몽족 성인 남성 절반 가량이 전사하면서 입대자 연령이 계속 내려갔다. 1968년 왕빠오군 신병 30%는 겨우 14세였다. M1소총 길이가 입대 기준이 돼 소년병에게 카빈병이란 별명이 붙게 됐다
 
-몽족 간호사
몽족 여성과 소녀들은 부상당한 군인들을 돌보는 간호사와 의료 종사자들이 됐다. 몽족은 관습상 전투는 남성 일이지 여성 일이 아니다. 씨족 지도자들은 강력하게 몽족 여성의 전쟁 참여에 반대했지만 인력 부족으로 소녀들이 간호사로 참전했다. 아홉 살 소녀가 훈련을 받고 위생병이 되기도 했다
 
-몽족 파일럿
왕빠오 장군은 2명의 몽족 병사 리 루와 반 투아를 T-28 폭격기 조종사로 키웠다. 두 사람은 공중 폭격수가 됐고, 더 많은 병사들이 공중으로 투입되는 계기가 됐다
 
-아편 재배와 거래
왕빠오는 게릴라부대 비용 마련을 위해 몽족에게 아편을 재배하게 했다. CIA 기지인 롱쩽에 헤로인연구소까지 설치했다. 에어 아메리카는 왕빠오의 아편 거래를 위해 전용기를 내줬고, CIA는 이를 묵인했다
 
폭격으로 폐허가 된 씨양쿠왕의 건물. (사진=우희철 작가)
 
6. 라오스 몽족의 디아스포라
 
1975514일 롱쩽 활주로에서 왕빠오와 가족, 군 간부들 2500명을 실은 마지막 항공기가 빠져나갔다. 롱쩽의 활주로에는 수천 명 몽족 병사와 가족이 버려졌다. 몽족 게릴라와 가족들은 박해를 피해 메콩강을 건너 태국으로 피신하고자 했다. 몇몇 가족은 수도 비엔티안에 도착해 메콩강을 건넜지만, 오지에 살던 많은 몽족들은 몇 주 동안 정글에서 걸어서 강에 도착했다. 많은 사람들이 도중에 목숨을 잃었고, 희생자들 중 일부는 부모가 조용히 있으라 아편을 먹인 아이들이었다. 라오스를 떠날 수 없던 몽족은 외딴 정글에 숨어 저항운동인 짜오파에 합류했고 인민혁명당 정부 토벌 대상이 돼 쓰러져갔다
 
1975년부터 1990년대 초까지 10만명이 넘는 몽족 난민이 미국으로 이주했고, 오늘날 미국에 36만명의 몽족이 캘리포니아 미네소타 위스콘신에 살고 있다. 라오스에 남은 몽족 70만명의 반이 넘는 숫자가 미국으로 넘어가 이산의 아픔을 겪고 있다
 
라오스=프리랜서 작가 '제국몽'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최병호 공동체부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0/300

뉴스리듬

    이 시간 주요 뉴스

      함께 볼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