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주비 대출 반토막…중소 건설사 직격탄 우려
2025-07-07 15:33:29 2025-07-07 17:08:09
 
[뉴스토마토 홍연 기자] 정부가 발표한 ‘6·27 대출 규제’가 정비사업장에서 변수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무주택자에게만 6억원까지 기본 이주비 대출을 허용하고, 유주택자는 아예 대출이 막히면서 재건축·재개발 조합들의 자금 운용에 부담이 되고 있는 것인데요. 시공사에 의존해야 하는 추가 이주비 비중이 커지면서 향후 건설사 간 수주 경쟁에서 성패를 가를 수 있는 중요한 문제로 부상하고 있습니다. 
 
7일 업계에 따르면 대출 규제 이전에는 주택담보대출비율(LTV) 50%까지 이주비 대출이 가능하고 건설사가 나머지를 지원해줬지만, 이번 대출 규제 이후 조합원 중 상당수가 이주비 한도 안에서 충분한 자금을 확보하기 어려운 상황에 처했습니다. 추가 이주비 대출에는 6억원 한도가 적용되지 않더라도 대출금리가 두 배가량 높습니다. 
 
서울시에 따르면 올해 3월 기준 사업시행인가를 마치고 관리처분인가를 앞둔 정비사업장은 모두 52곳, 4만8633가구에 이르며, 여기에는 용산구 한남2구역, 강남구 개포주공6·7단지, 노량진1구역 등이 포함돼 있습니다. 한남 2구역은 '관리처분인가를 신청한 단지에 대해서 종전 규정을 적용해달라'는 민원을 넣은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서울 시내 아파트 전경. (사진=뉴시스)
 
추가 이주비 금리는 각 건설사의 신용도에 따라 결정돼 정비사업 시장의 양극화를 더욱 심화시킬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옵니다. 자체 신용으로 직접 자금을 조달할 경우 대형사는 상대적으로 낮은 금리로 부담을 줄일 수 있기 때문인데요. 현재 10대 건설사 신용등급은 삼성물산 AA+(안정적), 현대건설·DL이앤씨 AA-(안정적), 현대엔지니어링 AA-(부정적), 포스코이앤씨 A+(안정적), 대우건설·GS건설HDC현대산업개발·롯데건설 A (안정적), SK에코플랜트 A- (안정적)입니다. 
 
그러나 이러한 이주비 지급 경쟁이 정비사업의 양극화 심화뿐 아니라 재무건전성 악화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옵니다. 분양평가사 리얼하우스가 지난해 말 기준 아파트 브랜드를 보유한 상장 건설사 34곳의 공시 자료를 분석한 결과, 평균 부채 비율 203%를 기록해 2년 전과 비교해 66% 증가했습니다. 무리한 자금 투입이 반복될 경우, 수주 성공이 오히려 유동성 위기의 불씨가 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옵니다. 
 
송승현 도시와경제 대표는 "주요 사업지, 사업성이 확보된 곳에 시공사 모시기가 강화할 것으로 보인다"면서 "이주비 대출 이슈가 생긴 상황에서 규모가 큰 건설사와 사업을 희망하는 조합이 많이 나타날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이어 "다만 이주비가 커지는 것이 조합원들한테 도움이 되는 것이 아니라 결국 비용으로 전가돼 본인이 납부하는 구조가 될 수 있어 마냥 긍정적으로 받아들이는 것은 경계해야 한다"고 부연했습니다. 
 
홍연 기자 hongyeon1224@etomato.com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강영관 산업2부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0/300

뉴스리듬

    이 시간 주요 뉴스

      함께 볼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