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안정훈 기자] 노태문 삼성전자 DX부문장(사장) 겸 MX부문장이 삼성전자의 인공지능(AI) 전환을 천명했습니다. 제품에는 AI 도입을 늘려 소비자 만족감을 높이는 한편, 내부적으로는 업무 영역에서 AI 도입을 확대해 AI가 업무를 분석하고, 인간이 결정하는 ‘AI 드리븐 컴퍼니(AI Driven Comapny)’로 만들겠다는 것입니다.
노태문 삼성전자 DX부문장(사장)이 지난 4일(현지시각) 독일 베를린에서 열린 IFA 2025 참석차 기자 간담회를 열고 취재진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삼성전자는 업무 영역 전반에서 AI를 통한 혁신에 나설 계획입니다. 노 사장은 4일(현지시각) 독일 베를린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삼성전자는 ‘AI를 가장 잘 활용하는 회사’, ‘AI로 일하고 성장하는 회사’로 전환해 AI 드리븐 컴퍼니로 거듭나겠다”고 포부를 밝혔습니다.
노 사장의 이러한 계획은 향후 AI가 산업 대다수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본 결과로 풀이됩니다. 노 사장은 “AI가 전 산업 혁신을 주도하는 전환기의 정점에 서 있다”며 “삼성전자는 2030년까지 전 업무의 90%에 AI를 적용해 회사의 근본 혁신을 이룰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제품 전반에도 AI를 도입해 소비자 경험을 늘릴 계획입니다. 노 사장은 “삼성전자는 갤럭시S24 시리즈를 시작으로 'AI 스마트폰 시대'를 열었으며 올해는 연내 4억대 이상의 갤럭시 기기에 AI를 탑재해 누구나 쉽게 멀티모달 기반 AI 경험을 누릴 수 있게 하겠다”고 강조했습니다.
TV와 가전에도 AI 적용을 확대하되, 장기적으로는 피지컬 AI까지 발전하는 미래 전략도 구상했습니다. 노 사장은 “갤럭시 AI(모바일), 비전 AI(TV), 비스포크 AI(가전제품)처럼 AI기술이 IT제품에 적용되면, 궁극적으로는 AI 에이전트를 기반으로 하는 경험으로 발전할 것”이라며 “AI 에이전트는 소비자의 다양한 제품과 기능에서 파생해 결국 피지컬 AI로 발전할 것이고 로봇으로 적용될 것이다. 피지컬 AI를 활용한 로봇 역시 미래 성장 동력으로 삼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한편, 노 사장은 DX부문 부문장을 맡게 된 데 대한 부담감도 토로했습니다. 그는 “대내외적으로 많은 도전이 이어지는 사업 환경 속 DX부문장을 맡게 되어 어깨가 무겁다”면서도 “삼성의 DNA는 실패를 두려워하지 않는 과감한 도전과 멈추지 않는 혁신이기에, 다시 한 번 삼성의 가능성과 실력을 증명할 시기로 전 임직원과 함께 각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강조했습니다.
안정훈 기자 ajh76063111@etomato.com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오승훈 산업1부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