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 이용자 81.7%, 위약금 면제해야"
'안전한 통신서비스 제공 못 했다' 다수 응답…이용자 신뢰 붕괴 수준 지적
2025-10-28 14:58:55 2025-10-28 15:19:27
[뉴스토마토 이지은 기자] 무단 소액결제·해킹 사태가 일어난 KT(030200) 이용자 10명 중 8명이 전 고객 대상 위약금 면제를 요구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KT가 안전한 통신서비스 제공 의무를 이행하지 않았다는 것이 이유입니다. 
 
28일 서울YMCA 시민중계실이 KT 이용자 1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해 공개한 KT 불법 소액결제 해킹 사건 인식조사 결과를 보면, 응답자의 81.7%가 '전 고객 대상 위약금 면제가 필요하다'고 답했습니다. '필요하지 않다'는 응답은 4.5%에 불과했습니다. 
 
KT 불법 소액결제 해킹 사건에 관한 이용자 인식 조사 결과. (자료=서울YMCA 시민중계실)
 
KT의 무단 소액결제 사태는 9월 초 경기 광명·서울 금천 등에서 피해 사례가 발생하면서 드러났습니다. 지금까지 확인된 피해자는 368명, 피해액은 2억4000만원입니다. 불법 초소형기지국(펨토셀)에 접속돼 가입자식별정보(IMSI), 단말기식별번호(IMEI), 전화번호 등이 유출된 이용자는 2만2000여명으로 집계됐습니다. KT는 지 21일부터 소액결제·개인정보 유출 피해자에 한해 위약금 면제와 유심 교체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김영섭 KT 대표는 21일 국정감사 증인으로 나와  "전체 고객 대상 위약금 면제 등 보상은 정부와 경찰 조사 결과를 보고 피해 내용을 고려해 종합적으로 판단하겠다"고 언급했습니다. 
 
KT의 보상 방안에 대해 이용자들의 불만은 높은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응답자의 72.6%는 '전체 고객에게 별도의 보상이나 조치를 하지 않는 것은 불공정하다'고 답했고, 'KT 해지를 가로막는 가장 큰 요인은 위약금'이라는 응답도 70.9%로 나타났습니다. 'KT가 안전한 통신서비스 제공 의무를 다하지 않았다'는 응답은 80.9%로 조사됐습니다. 
 
YMCA 시민중계실은 "KT는 지난 21일 국감에서 전 고객 대상 유심 교체를 전향적으로 검토하겠다고 밝혔지만 일주일이 지난 현재까지 아무런 후속 조치가 없다"며 "국민의 관심이 사그라들기만을 기대하는 것으로 보인다"고 비판했습니다. 이어 "KT 이용자 다수가 요구하는 전 고객 대상 유심 교체와 위약금 면제는 필수 서비스 제공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묻는 요구"라며 "KT가 이를 엄중히 받아들이고 신뢰 회복에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이지은 기자 jieunee@etomato.com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김나볏 테크지식산업부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0/300

뉴스리듬

    이 시간 주요 뉴스

      함께 볼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