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이명신 기자] 에쓰오일은 1분기 영업손실이 215억원을 기록해 전년 대비 적자전환했다고 28일 공시했습니다. 같은 기간 매출은 8조9905억원으로 3.4% 감소했고, 순손실은 전년 대비 적자전환한 445억원입니다.
서울 마포구 공덕동 에쓰오일 본사 전경. (사진=에쓰오일)
에쓰오일 측은 적자전환에 대해 “경기 둔화 우려로 수요가 부진한 가운데 역내 일부 정유공장의 정기 보수가 연기됨에 따라 정제마진이 하락했다”고 설명했습니다.
사업 부문별로는 정유 부문은 매출액 7조720억, 영업손실 568억원을 기록했습니다. 석유화학 부문은 매출액 1조1280억원, 영업손실 745억원으로 집계됐습니다. 윤활기유 부문은 매출액 7905억원, 영업이익 1097억원을 기록했습니다.
1분기 정유 사업은 미국의 산유국에 대한 제재로 원유 가격이 급등했으나 석유수출국기구(OPEC)와 러시아 등의 산유국 협의체인 OPEC+의 감산 축소 발표로 원유 가격이 급락하는 등 높은 변동성을 보여왔습니다. 여기에 아시아 정제마진은 경기 둔화 우려로 인해 수요가 부진했습니다.
석유화학 사업은 미국의 관세 부과 우려로 불확실성이 높아진 상황입니다. 아울러 벤젠의 미국향 수출 감소와 중국의 신규 설비 가동에 따른 PO(산화프로필렌) 시황 약세가 영향을 미쳤습니다. 하지만 중국의 추가 경기부양책과 하절기 휘발유 블렌딩 수요 유입 등을 바탕으로 시황 개선 가능성이 존재한다고 예상했습니다.
윤활기유는 계절적 성수기에 진입했음에도 불구하고 원재료 가격이 일시적으로 상승해 스프레드가 하락했습니다.
에쓰오일은 2분기 미국 관세 이슈 등 글로벌 불확실성이 여전하지만, 낮은 유가 수준을 바탕으로 수요가 점진적으로 회복되면서 정제마진이 다소 개선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에쓰오일 관계자는 “샤힌 프로젝트의 성공적 완수를 바탕으로 한 성장과 20% 이상의 배당성향을 통한 주주환원 간 균형으로 기업가치를 제고하겠다”며 “샤힌 프로젝트 진행률은 65% 수준으로 내년 상반기 기계적 완공을 목표로 순조롭게 진행 중”이라고 했습니다.
이어 “낮은 유가를 바탕으로 점진적인 수요 회복이 기대되는 가운데, 글로벌 정제 설비 증설 규모 축소와 원유조달비용(OSP) 하락 등을 감안할 때 상반기 말부터 점진적인 정제마진 개선 가능성이 존재한다"고 덧붙였습니다.
이명신 기자 sin@etomato.com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오승훈 산업1부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