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이명신 기자] 올해 1~4월 한국의 대미 철강 수출액이 전년도 수출 호조에 따른 기저 효과로 10%가량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미국을 제외한 철강 수출액은 2.6%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지난 3월 시행한 25% 철강 관세의 영향은 5월 수출부터 본격적으로 나타날 전망입니다.
지난 4월1일 경기도 평택시 포승읍 평택항 야적장에 철강 제품들이 쌓여 있다. (사진=뉴시스).
21일 산업연구원이 발표한 ‘미국의 보편관세 공표 후 철강 수출 동향 및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1~4월 대미 철강 수출액과 수출량이 모두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수출액은 13억8400만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10.2% 감소했고, 수출량은 96만2000톤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9.9% 줄었습니다. 같은 기간 미국을 제외한 철강 수출액이 2.6% 감소한 것과 비교하면, 큰 폭으로 감소한 것입니다.
보고서를 작성한 이재윤 산업연구원 연구위원은 “최근 대미 수출의 감소는 지난해 같은 기간 대미 수출 실적이 2018년 이후 최고치를 기록한 데서 비롯되는 현상”이라며 “최근의 실적 부진은 글로벌 시황 악화에 따른 단가 하락이라기보다는 물량 감소에 기인한 것으로 해석된다”고 설명했습니다. 이어 "통상 관세 부과 영향은 부과 시점 후 2∼3개월 정도 이후에 나타난다는 점에서 트럼프 관세 영향은 5∼6월 수출부터 확인될 것으로 예상한다”고 밝혔습니다.
품목별로 보면 중후판과 열연강판, 냉연강판 등 주요 품목의 대미 수출이 큰 폭으로 감소했습니다. 중후판의 수출액은 18% 줄었고, 열연강판은 수출액이 36.3%, 냉연강판은 수출액이 27% 감소했습니다.
반면 강관, 석도강판 등 미국의 수입의존도가 높은 제품과 고부가제품군의 수출은 양호한 실적을 거뒀습니다. 강관의 수출액은 10.3%, 석도강판의 수출액은 29.2% 올랐습니다. 이에 향후 트럼프 2기의 철강 관세도 품목별로 영향의 양상이 상이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트럼프 행정부는 지난 3월12일 철강·알루미늄과 파생상품에 대해 25% 관세를 발효시키며 기존 관세 예외 조치를 무효로 했습니다. 이에 한국은 트럼프 1기 행정부에서 합의한 철강 236만톤(t)을 무관세로 수출할 수 있는 쿼터제를 잃고 25%의 관세를 내게 됐습니다.
관세 정책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경쟁력 있는 제품 위주의 수출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나옵니다. 이 연구위원은 “쿼터 보호 소멸로 철강 수출의 단기 부담은 확대될 수 있으나 최적의 수출 전략 수립과 제품 경쟁력 강화를 통한 대응이 요구된다”면서 “주요 시장 동향 파악과 보편관세 부과의 장·단기적 영향 분석도 지속해야 할 것”이라고 했습니다.
이명신 기자 sin@etomato.com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오승훈 산업1부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