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이지은 기자] KT클라우드가 액체 냉각(리퀴드 쿨링)을 상업화한 상업용 데이터센터(DC)인 가산 AI 데이터센터를 개소했습니다. 수도권을 중심으로 급증하는 인공지능(AI) 연산·데이터 수요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함입니다.
KT클라우드는 6일 가산 AI DC를 개소하며 초거대 AI 인프라 허브를 구축했다고 밝혔습니다. 국내 기업들의 AI 도입과 AI 전환(AX)을 실질적으로 가속화할 수 있는 전략적 거점을 확보하고, 이를 기반으로 AI 시대를 주도하는 핵심 인프라로 적극 활용해 나갈 예정입니다.
가산 AI DC는 연면적 약 1만1046평, 지하 5층·지상 10층 규모로 조성됐습니다. 총 수전 용량 40㎿, IT 용량 26㎿를 갖춘 대형 인프라 시설입니다. AI 연산에 최적화된 고집적·초고집적 존 중심의 전용 공간 설계를 통해 고성능 AI 인프라 운영에 최적화된 환경을 구현했습니다. 전력·통신 인입의 이중화 설계로 시스템 안정성을 강화했으며, 수도권 내 8개 데이터센터와 연동되는 100G급 One DC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센터 간 초고속 연동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KT클라우드 가산 AI DC 전경. (사진=KT클라우드)
특히 고성능 그래픽처리장치(GPU) 서버에서 발생하는 열을 효율적으로 제어하기 위해 액체를 활용한 리퀴드 쿨링 기술을 국내 상업용 데이터센터 최초로 도입했습니다. 이 기술은 GPU칩에 콜드 플레이트를 부착하고 냉수를 직접 접촉시키는 직접 칩 냉각(D2C) 방식을 기반으로 합니다. KT클라우드는 B200 등 최신 GPU 기반 AI 서버의 고열 환경을 테스트하고, 제어하기 위한 리퀴드 쿨링 부하기를 자체 개발해 성능 검증을 완료했습니다.
KT클라우드는 고객 맞춤형 GPU 서버, 전용 네트워크, 운영 플랫폼, 유지보수까지 모두 포함된 통합형 턴키 AI 인프라 서비스도 이곳에서 제공합니다. 이 Colo.AI 서비스는 복잡한 인프라 구축 없이도 신속하고 안정적인 AI 환경 구현이 가능하게 할 수 있습니다. 회사 측은 "국내 전문 AI 기업 A사, 중소 금융기업 B사 등이 Colo.AI를 활용해 대규모 AI 모델 학습 및 서비스 운영을 안정적으로 수행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가산 AI DC에는 KT클라우드의 AI 기반 최신 DC 기술이 집약적으로 적용돼 있습니다. KT클라우드가 자체 개발해 특허 등록을 완료한 패스 파인더 솔루션은 이번 데이터센터에 최초로 도입됐습니다. 이를 통해 전력 계통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자동 차단·복구를 수행함으로써 전원 신뢰성을 획기적으로 강화했습니다. AI 분석을 기반으로 장애를 사전에 예측하고, 발생 상황을 자동 분류해 즉각적이고 정밀한 대응이 가능한 자동화 운영 플랫폼(DIMS)을 통해 학습 데이터 기반으로 고도화해 운용 품질도 개선했습니다.
최지웅 KT클라우드 대표는 "가산 AI DC는 국내 AI 시대를 앞당기고, AI 산업 생태계를 활성화하는 전환점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며 "가산을 시작으로 서부권역을 포함한 국내 주요 거점에 500㎿ 이상 규모의 인프라를 중장기적으로 확보해 AX 대전환을 선도해나갈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이지은 기자 jieunee@etomato.com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고재인 자본시장정책부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