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사, 국감 앞두고 ‘살얼음판’
잇단 사망사고, 건설사 CEO 증인 채택 가능성…업계 ‘긴장 고조’
“경영진 출석 자체가 경각심 줄 수도”…실효성엔 회의론도
2025-09-24 16:14:01 2025-09-24 17:58:53
 
[뉴스토마토 송정은 기자] 2025년 국정감사를 앞두고 주요 건설사들이 바짝 긴장하고 있습니다. 최근 반복되고 있는 산업재해 사망사고와 관련해 중대재해처벌법 위반 여부가 도마에 오르면서, 일부 대형 건설사 대표들의 국회 증인 출석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기 때문입니다. 
 
24일 업계에 따르면 현재 주우정 현대엔지니어링 대표와 송치영 포스코이앤씨 대표 등이 유력한 국정감사 증인 후보군으로 거론되고 있습니다. 올 상반기 현대엔지니어링이 시공하는 세종-안성 고속도로·교량 시공 현장에서 추락과 붕괴로 6명이 숨졌으며, 포스코이앤씨 현장에서는 총 4명의 사망사고가 발생했습니다. 
 
정희민 전 포스코이앤씨 대표이사 사장이 지난 7월29일 오후 인천 연수구 포스코이앤씨 인천 송도사옥에서 경남 함양-창녕 고속도로 현장에서 발생한 중대재해와 관련해 고개 숙여 사과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또 이번 달 대우건설, GS건설, 롯데건설 현장에서도 각각 사망사고가 발생했습니다. 해당 기업들은 사고 발생 직후 대표 명의의 공식 사과문을 통해 전 현장의 공사를 중단하고 안전 관련 미비점을 개선 후 공사를 재개하겠다고 밝힌 바 있습니다. 
 
이처럼 사망사고가 발생한 대형 건설사 CEO들을 국정감사에 증인으로 출석시킬 가능성이 대두되면서 업계 내부에서도 긴장감이 돌고 있습니다. 
 
현대엔지니어링 관계자는 “현재까지 국회로부터 공식적인 증인 출석 요청은 전달받은 바 없다”며 “국토교통위원회나 환경노동위원회 등에서도 아직 증인 신청이 이뤄지지 않은 것으로 알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이어 “현재로서는 언론이나 외부 커뮤니티에서 언급되는 내용 외에 사실로 확인된 부분은 없다”며 조심스러운 태도를 보였습니다. 
 
국회 차원 책임 추궁 본격화…건설사 경각심 유도
 
이번 국정감사에서는 중대재해처벌법의 실효성과 이행 실태를 점검하는 것이 주요 쟁점으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특히 최근 몇 년간 대형 건설 현장에서 사망사고가 잇따르면서 국회 차원의 책임 추궁이 본격화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오고 있습니다. 
 
이은형 대한건설정책연구원 연구위원은 “과거 정부에서도 대형 기업 대표를 국감 증인으로 채택하는 방식이 반복돼왔다”며 “이번에도 유사한 방식으로 대형 건설사의 CEO를 소환하려는 흐름이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습니다. 
 
이어 “경영진이 국회 증인으로 출석하는 것만으로도 내부적으로는 일정 수준의 경각심을 유발할 수 있다”며 “실제로 중대재해와 관련한 내부 시스템 정비에 자극이 되는 경우도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지난 2월 25일 현대엔지니어링이 시공 중이던 세종안성 고속도로 붕괴 사고 현장 모습. (사진=뉴시스)
 
다만 단순히 국정감사 증인 출석을 통한 ‘책임 추궁’만으로는 본질적인 문제 해결이 어렵다는 지적도 나옵니다. 
 
이은형 연구위원은 “안전관리 체계는 단기간에 바뀌기 어려운 구조다. 인력 보강이나 예산 확대가 수반되지 않으면 실효성을 확보하기 어렵다”며 “기존에 계약된 공사비 안에서는 추가 인건비나 안전 설비 투자도 쉽지 않다는 점을 정부가 고려해야 할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송정은 기자 johnnysong@etomato.com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강영관 산업2부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0/300

뉴스리듬

    이 시간 주요 뉴스

      함께 볼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