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대사관, '신안 염전노예' 조사 착수…정부 "범부처 차원 대응"
외교부 "각급에서 수시로 미국 측과 소통"
2025-11-19 12:01:24 2025-11-19 12:03:57
전남 신안군 하늘에서 바라본 태평염전에서 천일염 생산을 위해 해수를 말리는 작업이 진행되고 있다.(사진=뉴시스)
 
[뉴스토마토 차철우 기자] 주한미국대사관이 전남 신안의 염전 노예 사건에 대한 진상 조사에 나섰습니다. 진상조사 결과에 따라 미 정부의 인신매매 관련 보고서 평가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옵니다. 

정부는 19일 "우리 정부는 인신매매 대응을 위해 범부처 차원의 노력을 지속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SBS>는 전날 주한미국대사관이 신안의 염전주가 60대 지적장애인 A씨를 10년간 무임금으로 일을 시킨 혐의로 구속된 사건에 대해 진상 파악에 나섰다고 보도했습니다. 해당 보도에 따르면 대사관 관계자들은 피해자 변호인과 장애인 단체와 면담을 가졌는데요. 미 대사관 측은 지난 2014년 염전 노에 사건 당시 피해자인 A씨가 구조되지 못한 이유를 파악했습니다. 아울러 신안군이 지난 2023년 당시 염전주를 수사 의뢰한 뒤 피해자 분리 조치가 이뤄지지 않은 경위도 물었습니다. 
 
해당 보도에 대해 외교부는 "미 국무부의 연례 인신매매 보고서 작성 과정에서 주한미국대사관 측이 관련 국내 비정부기구(NGO) 등 다양한 관계자와 소통을 해오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전했습니다. 이어 "정부는 인신매매 대응을 위해 범부처 차원의 노력을 지속하고 있다"며 "정부의 대응 현황에 대해서는 한·미 인신매매 협의회 등 다양한 계기를 활용해 수시로 각급에서 미국 측과 소통하고 있다"고 전했습니다. 앞서 한·미 인신매매 협의회는 지난 1월17일 개최된 바 있습니다. 
 
정부에 따르면 미국 국무부는 2000년 인신매매 피해자 보호법을 제정했는데요. 이에 따라 각국의 인신매매 현황 및 퇴치 노력에 대한 연례 보고서를 발간하고 있습니다. 각국 정부의 노력과 성과에 따라 1~3등급으로 나뉩니다. 우리나라는 2023년에는 2등급, 지난해와 올해엔 보고서상 1등급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차철우 기자 chamato@etomato.com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최신형 정치정책부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0/300

뉴스리듬

    이 시간 주요 뉴스

      함께 볼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