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19합의 무효 후 포탄 사격훈련 '완전 재개'…남북관계 복원 '요원'
육군, MDL 3.7km 떨어진 경기 파주 스토리표적지서 7년 만에 포탄사격
전문가 "남북관계 복원·우발충돌 방지 위해 최전방 사격훈련 신중해야"
2025-04-22 11:42:27 2025-04-22 15:12:12
육군 1군단이 21일 경기도 파주에서 '9·19 군사합의'로 사격이 중단되었던 미군 스토리사격장 표적지에 7년 만에 포탄 사격을 재개했다. 사진은 1포병여단 K9A1 자주포가 포탄을 발사하고 있는 모습. (사진=육군)
 
[뉴스토마토 이석종 국방전문기자] 육군이 최근 9·19 군사합의 이후 중단됐던 최전방 실사격 훈련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군은 대비태세 강화를 위한 필수 훈련이라고 밝히고 있지만 우발 충돌 가능성이 높은 최전방 지역에서의 사격이 자칫 남북 간 군사적 긴장을 높일 수 있다는 우려도 나왔습니다.
 
육군은 22일 "9·19 군사합의로 2018년 이후 중단됐던 스토리표적지에 대한 포탄 사격훈련을 7년 만인 지난 21일 재개했다"고 밝혔습니다. 스토리표적지는 경기도 파주시 민간인통제선(민통선) 북쪽에 위치한 미군 사격장 내 표적 지역으로 군사분계선(MDL)으로부터 불과 3.7㎞ 떨어진 곳입니다.
 
육군은 "스토리표적지 재사용을 위해 지난달 25일 한·미가 양해각서를 체결한 후 처음으로 실시된 사격훈련"이라며 "적 도발 시 대응 능력 및 화력 대비태세 강화에 중점을 두고 실시됐다"고 설명했습니다. 육군이 스토리표적지를 활용한 사격을 마지막으로 한 건 지난 2018년 8월입니다. 이로써 9·19 군사합의로 중단됐던 모든 최전방 사격장에서의 사격훈련이 재개됐습니다.
 
육군 1사단 소속 K55A1 자주포가 지난 21일 7년 만에 재개된 스토리표적지를 활용한 사격훈련에 포탄을 발사하고 있다. (사진=육군)
 
이날 사격 훈련에는 1사단과 1포병여단 예하 포병대대 소속 K55A1 자주포 6문과 K9A1 자주포 12문이 투입되어 총 60여발의 포탄 사격을 했습니다.
 
육군은 "스토리지표적지 재사용으로 실전적 훈련에 어려움을 주었던 제한 사항을 충분히 해소하게 됐다"며 "특히 접적지역에서 작전계획에 기초한 화력 운용과 장사거리 사격 능력을 배양할 수 있었다"고 부연했습니다.
 
앞서 육군은 지난 16~17일, 강원도 고성 해안에서 야간 해상사격 훈련을 했습니다. 이 훈련에는 K9A1 자주포·K55A1 자주포·천무 다연장로켓·K105A1 차륜형자주포 등이 투입됐습니다. 이 훈련이 진행된 지역 역시 동해안 남방한계선 인근 최전방 지역이었습니다. 
 
육군 3포병여단 소속 천무 다연장로켓이 지난 16~17일 강원도 고성 해안에서 진행된 야간 해상사격 훈련 중 130mm탄을 발사하고 있다. (사진=육군)
 
배석진(대령) 육군 공보과장은 "스토리표적지까지 사격훈련이 재개되면서 9·19 군사합의로 중단됐던 모든 사격장이 정상화됐다"며 "접적지역에서의 훈련에 특별한 의미를 두기보다는 당연히 해야 되는 교육·훈련을 정상적으로 진행한다고 보면 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전문가들 사이에선 군의 대비태세 유지를 위해 필요하지만 남북 간 불필요한 군사적 긴장을 높일 수 있다는 우려와 함께 단절 수준에 이른 남북 관계 복원을 위한 고려도 필요한 시점이라는 의견이 나왔습니다.
 
박성진 안보22 대표는 "군이 실사격 훈련을 하는 건 대비태세 강화를 위한 필요한 부분"이라면서도 "접적지역에서의 실사격 훈련은 자칫 우발 충돌로 이어질 수 있는 만큼 신중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김용현 동국대 교수는 "윤석열정부의 9·19 군사합의 효력 정지 등 대결적 대북정책과 북한의 적대적 두 국가 선언 등으로 남북 관계가 단절 수준에 이르고 있는 상황"이라며 "새 정부 출범 이후 남북 관계 복원을 위해서라도 접적지역 실사격 훈련 등 군의 각종 훈련을 신중하게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습니다. 특히 김 교수는 "9·19 군사합의의 정신이 남북 간 우발적 충돌 방지인 만큼 남북이 모두 다시 9·19 군사합의를 이행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이석종 국방전문기자 stone@etomato.com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최신형 정치정책부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지난 뉴스레터 보기 구독하기
관련기사
0/300

뉴스리듬

    이 시간 주요 뉴스

      함께 볼만한 뉴스